학술논문
지역축제 참가동기 집단 유형에 따른 만족 및 행동의도 영향관계 연구
이용수 42
- 영문명
- An Analysis on the Group Differences in th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the Local Festival: Focused in 2010 Great Baekje World Festival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준범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15권 제1호, 43~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several factors that cause people to participate in the local festival, and evaluates major behavioral motivations to the local festival. Based on the participation motivations, participants were separated into groups, and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among groups was conducted. In the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articipative motivation and overall satisfaction/behavioral intention were investigatedand provides current affairs in the practical businesses. The results are reported as following; the motivations are determined as the objective to the festival: harmonious family life, new experience/refreshment, amusement, friendship and cultural experiences; and the factors of satisfaction are described as information/festival contents, food/ local special products, conveniences, and program and its staffs. The motivations deduct three groups, and the groups were named as the purpose of the participation: a new experience/ amusement – oriented group, a harmonious family life/refreshment – oriented group, and a cultural experience/harmonious family life –oriented group. The regression result shows the highes level of the overall satisfaction/behavioral intention to a cultural experience/harmonious family life –oriented group. Moreover, the two regressions were conducted with different dependent variables, overall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respectively. The common participation motivations to both regressions areamusement and cultural experiences. The influence on the groups is examined by the regression methodology, and each group is differently influenced. The new experience /amusement-oriented group shows the highest level of the satisfaction, and the cultural experience/harmonious family life –oriented group reports the highest degree of the behavioral intention. The cultural experience/harmonious family life –oriented group can be explained that the clear purpose to the festival brings the high level of the satisf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의 이론 고찰
Ⅲ. 연구설계 및 가설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관광리조트 선택속성이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국내관광객의 가치, 라이프스타일, 사회계층이 숙박시설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축제 참가동기 집단 유형에 따른 만족 및 행동의도 영향관계 연구
- 퍼지모형을 이용한 경주⋅안동 문화관광 성과 비교 연구
- 심리적 계약 위반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에 관한 연구
- 외식업체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지역주민의 골프에 대한 인식이 골프장 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여행업의 지식경영활동이 조직유효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여성직원이 지각하는 직장-가정갈등이 승진장벽 및 서비스품질지각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