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식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53
- 영문명
- The effect of job stress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f an employee: Gender Adjustment Effect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고호용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1호, 249~26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외식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 가를 분석한다. 또한,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에 어떠한 영향이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직무 스트레스는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간에 성병의 조절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도시권 지역에 근무하는 외식산업 종사자 대상으로 설문를 실시하였으며 총210부의 표본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로 첫째, 역할갈등과 직무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직무소진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성별은 역할갈등과 직무소진에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 중에서 외시산업 사회에서는 여성보다 남성이 직무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how job stres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affects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effect of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the effect of gender control betwee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was verified for job stress.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workers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of an employee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a total of 210 samples were used f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effect on role conflict and job burnout.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it had an effect on job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gender has a moderating effect in role conflict and job burnout. Among them, it was found that men were more stressed than women in external industrial socie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IV. 실증분석
V.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른 배달 음식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 외식 배달 앱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컨설턴트 역량이 폐업소상공인의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한 밀키트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수정 IPA를 활용한 와인 공급업체 선정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외식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에 미치는 영향
- 무인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장소애착과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특산물의 선택속성이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과 지역 이미지 및 제품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채식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가 태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 소명의식과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 외식경영연구 26권 1호 목차
- 유튜브 음식 콘텐츠의 구전정보특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조리종사원의 성격특성이 신뢰, 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