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직업 소명의식과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이용수 236
- 영문명
- A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Job Calling,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Kitchen and F&B Department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홍윤주 김영중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1호, 205~2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급호텔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직업 소명의식이 조직기반 자긍심 및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부서의 조절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확보된 379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연구모형의 신뢰성, 적합성 등을 검토하였고,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직업 소명의식의 하위차원인 업무동일시/개인-환경 적합성, 초월적 인도력은 조직기반 자긍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열의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일의 의미와 가치추구, 초월적 인도력인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조직기반 자긍심은 직무열의에 유의한 정(+)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서에 따른 조절효과는 일부 존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직업 소명의식은 조리 및 식음료 종사원의 조직기반 자긍심을 강화하고 직무열의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job calling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Based on the 379 samples obtained for empirical research this study reviewed the reliability and fitness of the research model and verified a total 7 hypotheses using the AMOS program(18.0). The hypothesized relationships in the model were simultaneously tested by su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SEM showed that job calling had a a positive significant influence on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and job engagement. Also, organizational-based self-esteem had a job engagement. The moderating effects on kitchen and f&b department do. The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explained as well.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조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른 배달 음식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 외식 배달 앱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컨설턴트 역량이 폐업소상공인의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한 밀키트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수정 IPA를 활용한 와인 공급업체 선정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외식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에 미치는 영향
- 무인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장소애착과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특산물의 선택속성이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과 지역 이미지 및 제품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채식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가 태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 소명의식과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 외식경영연구 26권 1호 목차
- 유튜브 음식 콘텐츠의 구전정보특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조리종사원의 성격특성이 신뢰, 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