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 특산물의 선택속성이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과 지역 이미지 및 제품 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365
- 영문명
-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ourism products and the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m specialties Impact on Regional Image and Product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외식경영학회
- 저자명
- 고도윤 김형일
- 간행물 정보
- 『외식경영연구』26권 1호, 57~8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지역관광 특산물의 속성을 활용한 관광상품개발 필요성의 인식이 지역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해 지역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지역관광특산물의 속성을 이용한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과 지역 이미지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 파악하고자 하였다. 조사시기는 2022년 8월 01일부터 2022년 9월 01일까지 30일 동안 실시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1.0의 통계를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특성,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검증결과를 바탕으로 요즘의 관광객들은 개인의 성향과 사회적인 변화에 따라 관광특산품을 지역의 이미지, 관광특산물의 속성, 지역문화, 전통성, 역사성, 음식문화 등으로 다양하게 상품을 선택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관광특산물은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의 인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 이미지는 는 소비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가져왔다. 이러한 지역의 특산물의 속성을 이용하여 그 지역만의 특징인 전통, 역사를 가미한 새로운 품질 좋은 제품 수준 향상 및 판매 증대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perception of the need to develop tourism products using the attributes of local tourism products on the local imag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the need to develop tourism products using the attributes of local tourism products. The investigation period was conducted for 30 days from August 1, 2022 to September 1, 2022. The analysis method wa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tatistics from SPSS 21.0, and based on the verification results, tourists these days tend to select various products based on local image, tourism characteristics, tradition, history, and food culture. Using the attributes of these local specialti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level of new quality products with tradition and history,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o ensure that many sales are made at the same time in the bran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조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1인 가구의 성별에 따른 배달 음식 소비 행태에 관한 연구
- 외식 배달 앱 품질이 지각된 유용성 및 지속적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외식컨설턴트 역량이 폐업소상공인의 재창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 계획행동이론에 근거한 밀키트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 수정 IPA를 활용한 와인 공급업체 선정기준에 관한 탐색적 연구
- 외식산업 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소진과 직무만족 간의 구조관계에 미치는 영향
- 무인커피전문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장소애착과 고객만족 및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 특산물의 선택속성이 관광상품 개발 필요성과 지역 이미지 및 제품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채식 선택속성과 지각된 가치가 태도 및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업 소명의식과 조직기반 자긍심, 직무열의와의 구조적 관계연구
- 외식경영연구 26권 1호 목차
- 유튜브 음식 콘텐츠의 구전정보특성이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 조리종사원의 성격특성이 신뢰, 만족,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