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출소자 가정 복원을 위한 가족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이용수 9
- 영문명
- A preliminary study on the developing of family intervention program for re-offender’ family resiliency
- 발행기관
- 한국법무보호복지학회
- 저자명
- 한영옥(Han Young-ok) 강지수(Kang Ji-su) 김수정(Kim Soo-joung) 강지혜(Kang Ji-hye) 조성현(Cho Sung-hyun)
- 간행물 정보
- 『법무보호연구』제1권, 157~17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출소자 가족의 갈등상황 및 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능력과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통하여 가족관계를 개선하고 가족기능 회복을 도모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가족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그 효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출소자 가족의 가족기능 향상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을부부로 한정한 결과를 볼 때 가족기능 전체척도에서는 프로그램 전후간의 차이가나타나지 않았으나 세부적으로 가족기능 하위요인을 나누어 분석한 결과, 가족역할에서 치료프로그램을 통한 긍정적인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령대별로 프로그램의 효과를 살펴본 결과 10대와 50대에서는 가족기능에서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하였고 향후 출소자 가족의 기능회복을 위한 가족개입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observes the effect of re-offender’s family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is conducted for improving coping skill against stress, communication skill, family relationship and promoting family function. Findings are as followings: Frist it is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 of re-offender’s family group counseling program in family function criteria. Second in the couple group, the score of family member’s role increases than that of pre-test significantly.
Third in their teens and fifties, it is identified the positive effect of program in family function criteria. Based on the result, it is discussed the limit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the developing of re-offender’s family intervention program.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