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위빳사나 깜맛타나(vipassanākammaṭṭhāna)

이용수 19

영문명
A Study of Vipassanākammaṭṭhāna from Abhidhammatthasaṅgaha: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vimokkhabheda and samāpattibheda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한상희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58輯, 285~316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제9장 가운데 ‘위빳사나의 명상주제(vipassanākammaṭṭhāna)’에 설해진 세 가지 해탈(vimokkha)과 성자들이 성취하는 과의 선정(phalasamāpatti, 果定), 그리고 멸진정(nirodhasamāpatti)에 관하여 고찰한 것이다. 아비담마의 무상ㆍ무원ㆍ공함의 세 가지 해탈은 각각 무상ㆍ고ㆍ무아라는 세 가지 특상의 수관을 통해 얻어지는데, 이것은 위빳사나의 방식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이르게 되는 도와 과의 상태이자 그 명칭이다. 즉 무상(無常)이라고 통찰하여 도를 얻으면 그 도는 무상(無相) 해탈이라 불리고, 괴로움[苦]이라고 통찰하여 도를 얻으면 그 도는 무원 해탈이라고 불리는 것이다. 도는 이와 같이 위빳사나의 방식에 따라 해탈의 이름을 얻지만, 과는 어떠한 인식과정에 있느냐에 따라 그 방법이 달라진다. 다시 말하면 도의 인식과정에서 과는 도의 결과로서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도에 따라 이름을 얻지만, 과의 선정의 인식과정에서는 도가 일어나지 않고 근행정(近行定)의 마지막인 고뜨라부(gotrabhū) 다음에 바로 과가 일어나기 때문에, 도가 아니라 위빳사나의 방식에 따라서 해탈의 이름을 얻는 것이다. 그러나 대상과 특성에 따를 경우는 두 과정과 모든 도와 과에서 차이 없이 이름을 얻는다. 한편 과의 선정이란 성자들의 선정이 열반을 대상으로 하여 완전한 집중의 형태인 안지정(安止定)에 들어가는 것을 말하며, 멸진정이란 마음과 마음의 작용들이 모두 멈춘 경지의 선정을 일컫는다. 과의 선정은 예류자에서 아라한에 이르는 모든 성자들이 성취할 수 있지만, 멸진정은 욕계와 색계에 있으면서 여덟 가지 선정을 성취한 불환자와 아라한만이 얻을 수 있다. 두 선정은 그 경지는 물론 성취와 출정의 방법이 다르지만, 성자들이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게 머물기 위해서 성취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공통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bout the three vimokkhas, phalasamāpatti and nirodhasamāpatti described in Vipassanākammaṭṭhāna in Abhidhammatthasaṅgaha. The three vimokkhas of Abhidhamma, that is animitta, appaṇihita and suññata are attained by contemplating the three lakkhaṇas that is anicca, dukkha and anattā respectively. In other words, if one attains magga by insight into anicca, that magga is called animitta vimokkha and if dukkha, that is called appaṇihita vimokkha. In this way, magga obtains the name of vimokkha according to the method of vipassanā, but in case of phala, the way of obtaining the name depending on which process of cognition it is on. In the process of magga, phala get the name as the same of magga, whereas in the process of phalasamāpatti, phala get it according to the method of vipassanā because magga is not arise and phala arise after gotrabhū. However, if it is according to the object and the characteristic(guṇa), it gets the name without difference in the two processes and all maggas and phalas. Phalasamāpatti is the state of complete concentration that is achieved by only saints(ariya), and nirodhasamāpatti is the temporary suspension of all consciousness and mental activities. While phalasamāpatti can be attained by all saints from sotāpanna to arahant, nirodhasamāpatti can be attained only by anāgamin and arahant who have achieved the eight jhānas in the realms of kāma and rūpa. Although the two samāpatti are different in their state and the method of achievement and rising out, they have common thing in that the saints achieve them in order to stay happily here and now.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해탈의 분석(vimokkhabheda)
Ⅲ. 선정의 분석(samāpattibheda)
Ⅳ. 니까야의 세 가지 사마디(samādhi)와 아비담마의 세 가지 해탈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상희. (2023).『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위빳사나 깜맛타나(vipassanākammaṭṭhāna). 불교연구, (), 285-316

MLA

한상희.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위빳사나 깜맛타나(vipassanākammaṭṭhāna)." 불교연구, (2023): 285-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