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이용수 103

영문명
The Status of Manas and Its Significance in the Psychological Structure of Yogācāra system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재권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58輯, 203~238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초기불교와 아비달마불교에서는 18계에서 제시되는 6식의 구조와 심·심소의 관계로서 인식현상과 다양한 심리현상들이 설명된다. 특히 아비달마불교에서는 마음 자체(心, citta)를 나타내는 심·의·식은 작용양상에 따라 명칭상 서로 구분되지만, 본질적으로 표층적인 심리양상을 나타내는 그 심리적인 위상은 별다른 차별이 없다. 한편 유식사상사에서 심·의·식의 문제는 아비달마불교와 달리 보다 중층적이고 역동적인 8식의 구조로서 새롭게 정립되었다. 특히 인식현상과 다양한 심리현상(心所, caitasika)들은 대승적인 입장을 반영하여, 주로 의식과 심층의식(무의식)의 그 역동적 관계 속에서 인식론적·수행론적 맥락에서 그 사상적 변용의 전개양상을 드러낸다. 따라서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인식의 구조상 18계의 6식의 구조에 비해 보다 중층적·역동적인 인식현상과 심층의식의 긴밀한 그 연쇄적 인과관계를 제시하는 8식의 구조에 주목하여, 특히 제7식 말나식의 위상과 역할을 그 인식론적·수행론적 맥락에서 다각적으로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는 『해심밀경』의 아뢰야식이나 「섭결택분」의 8식 관련기술을 비롯한 『중변분별론』과 『섭대승론』, 그리고 『유식30론』 등의 8식 관련기술들을 면밀하게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유식사상사에서 8식의 성립과정과 8식의 구조에서 말나식이 가지는 역할과 그 의의를 어느 정도 해명한 것이다.

영문 초록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Buddhism explained diverse cognitive and mental phenomena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six consciousnesses, as presented through the framework of eighteen realms (dhātu), and also on the ba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ind and mental factors. In particular, Abhidharma Buddhism acknowledged that citta can be distinguished into three different appellations of mind, thought and consciousness according to its operative modes. Abhidharma Buddhism, however, saw these three terms as having no specifically distinct mental statuses, as it regarded them as mental modes occurring on the surface of mind.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philosophy, this problem of mind, thought, and consciousness was set forth anew with its introduction of the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which is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ness and dynamicity unseen in the Abhidharma theory of mind. Thereafter, Yogācāra philosophy accepted the Mahāyāna position of cognitive and mental phenomena (caitasika), and presented the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consciousness and deep consciousness (i.e., unconsciousness), as well as its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contexts―thereby revealing how the understanding of cognitive/mental phenomena underwent changes in the history of thought. In this respect, the present paper pays attention to the Yogācāra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which shows the close and consecutiv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phenomena and deep consciousness in a more dynamic and multilayered fashion than the structure of six consciousnesses in the eighteen realms does. In particular, this paper aims at explicating the status and role of the seventh consciousness called manas has in epistemological and soteriological contex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For the purpose of attaining this aim, this paper closely examines the descriptions of the ālayavijñāna and eight consciousnesses as appearing in the Saṃdhinirmocana, the “Viniścayasaṃgrahaṇī” section of the Yogācārabhūmi, the Madhyāntavibhāga, the Mahāyānasaṃgraha, the Triṃśikā, etc. This paper thus explicates the process, in which the theory of eight consciousnesses was established, and the role and status manas has in the structure of eight consciousnesses, to a certain extent in the history of Yogācāra philosophy.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18계에서 의근의 기능과 위상
Ⅲ. 8식설의 성립과 그 전개양상
Ⅳ. 8식의 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Ⅴ. 맺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재권. (2023).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불교연구, (), 203-238

MLA

김재권.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불교연구, (2023): 203-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