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효의 보살사상

이용수 56

영문명
Wonhyo's Bodhisattva Thought: Focused on the tension between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김성철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58輯, 59~87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학자로서뿐만 아니라 대중교화의 모델로도 인정받고 있는 원효의 이타행의 근거를 그의 학문적 저작 안에서 찾아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대승불교 전통, 특히 동아시아 대승불교 전통에 널리 나타나는 이타행의 한 모델로서 보살의 열반연기론을 실마리로 하여, 대승불교 이타행의 궁극적 모델인 무주처열반과의 긴장 관계를 살펴보고, 원효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정토계 경전에서 유래한 것으로 보이는 열반연기론은 무여열반에 들면 이타행이 불가능하다는 전통적 열반관에 근거한 것이다. 이에 비해 자성열반과 무주처열반은 반야계의 공사상을 기반으로 한 대승의 열반관이다. 특히 무주처열반은 전통적인 유여열반을 대승적 관점에서 재해석한 것으로서, 윤회를 거듭하면서 이타행을 행하는 것 자체를 열반으로 간주한 획기적인 사상이다. 이와 같이 대승화한 열반관이 확립하면서 인도불교 전통에서 열반연기론은 영향력을 상실해 간다. 원효 또한 열반연기론과 자성열반, 그리고 무주처열반 개념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들 개념이 나타난 경론들을 자유자재로 인용하면서 『열반경』을 주석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원효에게는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의 긴장관계에 대한 인식은 나타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먼저, 그가 주석하는 『열반경』이 이 문제를 다루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원효는 굳이 경전에 나타나 있지 않은 문제를 다룰 필요가 없었을 것이다. 다음으로, 이미 무주처열반 개념의 확립으로 인해 열반연기론의 긴장관계가 해소된 단계의 경론을 그가 접했기 때문일 것이다. 그가 인용하는 『유마경』과 『능가경』에는 열반연기론이 나타나 있지만, 그것은 자성열반론 혹은 무주처열반론에 의해 이미 재해석된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그는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의 대립을 부각하여 해설할 이유가 없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원효가 독창적으로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의 긴장관계를 해소한 사례가 보인다. 그것은 진여열반론과 붓다의 3신설을 결합하여 보신과 화신의 활동 양상으로 열반연기론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 점은 인도 찬술 불전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설명 방식으로서 원효의 독창적인 기여라고 평가할 수 있다.

영문 초록

Wonhyo is well known not only as a scholar but also as an exemplary model of his public relief activities.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the theoretical basis of his altruism in his academic writings. For this purpose, taking the theory of postponement of nirvāṇa of a bodhisattva, which is a model of altruism widely seen in the Mahāyāna Buddhism, especially in the East Asian tradition, as a clue, I examined the tension between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 ultimate model of altruism in Mahāyāna Buddhism, and examined how Wonhyo solved the problem.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which seems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criptures of the Pure Land Buddhism, is based on the traditional view of nirvāṇa that altruistic acts are impossible when entering nirupadhiśeṣa-nirvāṇa. In contrast, prakṛti-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are Mahāyānic versions of nirvāṇa based on the śūnyatā thought of the Prajñāpāramitā literature. In particular, apratiṣṭhita-nirvāṇa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sopadhiśeṣa-nirvāṇa from the point of view of Mahāyāna, and it is a groundbreaking idea that considers the altruistic acts itself as nirvāṇa while repeating reincarnations. As the Mahāyānic view of nirvāṇa is established,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loses its influence in the Indian Buddhist tradition. Wonhyo seems to have deeply understood the concepts of postponement of nirvāṇa, prakṛti-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and commented on Mahāparinirvāṇa-sūtra, freely quoting the scriptures in which these concepts appeared. However, Wonhyo does not seem to recognize the tension between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 reason is, first of all, that the Mahāparinirvāṇa-sūtra he comments on does not deal with this issue. Therefore, Wonhyo would not have had to deal with problems that did not appear in the scriptures. Next, it may be because he came across the scriptures at the stage where the tension between apratiṣṭhita-nirvāṇa and postponement of nirvāṇa was resolv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of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ppears in Vimalakīrti-nirdeśa and Laṅkāvātara-sūtra, which he cites, but it is already reinterpreted by prakṛti-nirvāṇa or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erefore, he has no reason to comment on the opposition between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Lastly, it is because Wonhyo creatively resolves the tension between postponement of nirvāṇa and apratiṣṭhita-nirvāṇa. Thatt is to understand the postponement of nirvāṇa as a mode of activity of sāṃbhogika-kāya and nairmāṇika-kāya by combining nirvāṇa as tathatā and the theory of kāya-traya of Buddhas. This can be evaluated as Wonhyo's original contribution as an explanatory method that does not appear in Indian Buddhist literature.

목차

Ⅰ. 서론
Ⅱ. 대승불교에서 이타행의 이론적 근거 -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
Ⅲ. 원효의 열반관
Ⅳ. 열반연기론과 무주처열반론의 통합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성철. (2023).원효의 보살사상. 불교연구, (), 59-87

MLA

김성철. "원효의 보살사상." 불교연구, (2023): 59-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