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대의 종교문화와 불교의 미래
이용수 213
- 영문명
- Contemporary Religious Culture and the Future of Buddhism: Focusing on the discourses of ‘secularization’ and ‘mindfulness’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송현주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第58輯, 123~170쪽, 전체 4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8,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현대 종교문화의 흐름과 관련하여 불교의 미래를 전망해보려는 시도이다. 현대의 종교문화는 크게 ‘세속화 담론’과 ‘포스트세속 혹은 포스트모던 담론’이라는 두 흐름을 통해 논의되고 있다. ‘세속화 담론’은 근대화로 인한 종교의 소멸 혹은 쇠퇴, 그리고 사사화(privatization)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포스트세속 혹은 포스트모던 담론’은 세속화 이론에 대한 수정 또는 보완 담론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둘 사이에서 초점은 세속화의 역전 가능성 문제로 모아진다. 세속화의 문제는 현대 불교의 위상과 의미를 파악하는 데도 중요하다. 19세기 이후 서구를 중심으로 전개된 소위 “근대불교(modern Buddhism)”는 그 명칭에서 ‘근대성을 내포한 불교’라는 의미를 함축하고 있다. 이것은 전통불교가 근대화 과정에서 일정 정도 세속적 조건에 맞춰 재편된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최근 부상하고 있는 새로운 불교의 흐름은 기존 세속화 논의를 복잡하게 만들고 있다. 서구불교를 중심으로 발전해온 ‘마음챙김(mindfulness)’ 수행이 대표적인 경우이다. 이 ‘마음챙김’ 명상이 근대화에 따른 종교성의 적절한 변화의 산물이라는 의견이 있는 반면, 그것은 불교 본래의 전통에서 탈맥락화된 것으로서 ‘세속화된 불교’라는 비판적 시각이 있다. 이글은 이러한 논란 속에서 불교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진단과 전망이 어떻게 표출되고 있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그것이 한국불교와 관련하여 가지는 의미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predict the future of Buddhism in relation to the flow of modern religious culture. Modern religious culture is largely discussed through two streams: 'secularization discourse' and 'post-secular or postmodern discourse'. The ‘discourse on secularization’ developed around the disappearance or decline of religion due to modernization and privatization. ‘Post-secular or post-modern discourse’ can be said to be a modified or supplementary discourse on the theory of secularization. The focus here is on the reversibility of secularization. The problem of secularization is also important i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meaning of modern Buddhism. The so-called “modern Buddhism,” which has been developed mainly in the West since the 19th century, implies the meaning of “Buddhism with modernity” in its name. This means that traditional Buddhism has been reorganized to a certain extent according to secular condition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However, the recent emerging trend of Buddhism complicates the discussion of secularizati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which has been developed centering on Western Buddhism, is a representative case. While there is an opinion that this ‘mindfulness’ meditation is a product of appropriate changes in religiosity following modernization, there is a critical view that it is ‘secularized Buddhism’ as it is decontextualized from the original Buddhist tradition.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diagnosis and prospects for the present and future of Buddhism are being expressed in this controversy, and to examine the meaning it has in relation to Korean Buddhism.
목차
Ⅰ. ‘마음챙김’ 명상과 현대 서구불교의 문제 상황
Ⅱ. 세속화의 주요 담론과 쟁점
Ⅲ. 세속의 종교, 종교의 세속화
Ⅳ. 근대불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
Ⅴ. 서구 근대불교 논의와 한국불교의 미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근·현대 동아시아의 재가불교사상과 운동
- 원효불교의 재발견과 한국불교의 방향
- 『돈오대승정리결』에서 摩訶衍의 불성 이론을 비불교도들의 아뜨만 이론이라고 비판하는 이는 까말라씰라인가?
-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위빳사나 깜맛타나(vipassanākammaṭṭhāna)
- 元曉의 『無量壽經宗要』 찬술 시기의 재검토
- 신라 하대 현실 인식과 佛土觀의 변화
-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의 진리지(tattvajñāna)에 관한 고찰
- 현대의 종교문화와 불교의 미래
- 엘라파트라 용왕의 수수께끼
- 원효의 보살사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이기영 선생의 불교연구와 한국 현대불교학
- 산스크리트 희곡의 플롯에 대한 일고찰 - 『나티야 샤스트라』의 이론과 희곡 『나가난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 열반의 초월성 이미지와 아라한의 윤리에 대한 고찰 - 뗏목의 비유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