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엘라파트라 용왕의 수수께끼
이용수 56
- 영문명
- The Riddle of Elāpattra: Patterns of Episodic Insertion of early Buddha Biographies
- 발행기관
- 한국불교연구원
- 저자명
- 강형철
- 간행물 정보
- 『불교연구』第58輯, 239~284쪽, 전체 4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불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2.28
8,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역사 속의 붓다가 열반에 든 후 그의 제자들은 여러 형태로 생전 붓다의 모습에 대한 기록을 남기려 했고, 이는 불교사 전체를 관통하는 하나의 문화가 되었다. 일부 부파의 율장 속에서 붓다의 전기를 구성하려는 초기작업의 결과가 발견되는데, 대표적으로 상좌부의 율장에 속하는 『마하박가』(Mahāvagga)와 화지부(化地部) 율장의 한역인 『彌沙塞部和醯五分律』, 법장부에 귀속되는 『四分律』에서 공통적으로 그런 시도의 성과가 보인다. 이들은 붓다의 성도 이후부터 사리불과 목건련의 출가까지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이 세 가지 판본 중에서 『오분율』과 『사분율』의 붓다전기에서만 발견되는 특이한 이야기가 있다. 나가들의 왕(Nāgarājan, 龍王)인 엘라파트라(Elāpattra, 伊羅鉢怛羅)가 등장하는 에피소드로서, 이 이야기는 후대의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에서 한 단계 변형이 있으며, 『마하바스투』(Mahāvastu), 『불본행집경』(佛本行集經)에서는 보다 확장된 이야기로 서술된다. 또, 『담마파다 주석』(Dhammapada Aṭṭhakathā)에서도 다른 계열의 엘라파트라 설화가 소개되고 있다. 엘라파트라는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해답을 제시해 줄 진정한 붓다를 찾아나서고, 끝내 붓다를 만나게 된다. 본 논문은 엘라파트라의 에피소드의 여러 판본들을 비교분석하고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또한, 그 질문과 해답 속에 숨겨져 있는 내용이 시사하는 바를 분석하고, 붓다전기나 설화 등이 불교사를 조명하는 단서가 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영문 초록
After the historical Buddha passed away, his disciples tried to record the life of the Buddha in various forms, and it became a culture that persisted throughout the history of Buddhism. In the Vinaya of some Buddhist schools, early works to compose a biography of the Buddha can be found. Representatively, the Mahāvagga belonging to the Vinaya of Theravāda or Sthaviravāda tradition, 『彌沙塞部和醯五分律』(T1421), which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Mahīśāsaka-vinaya, and 『四分律』(T1428), which is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Dharmaguptaka-vinaya, show results of such attempts in common. These tell the stories, from the Buddha’s enlightenment of Buddha to the conversion of Śāriputra and Maudgalyāyana. Among these three versions, there are unique stories found only in the biography of Buddha in the Mahīśāsaka-vinaya and Dharmaguptaka-vinaya. They are episodes in which Elāpattra (伊羅鉢怛羅), the king of the Nāgas (Nāgarājan) issues riddles. Over time, these stories were tranformed in the Mūlasarvāstivādavinayakṣudravastu (『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雜事』, T1451), and recreated as more expanded stories in the Mahabastu and the Abhiniṣkramaṇasūtra (『佛本行集經』, T190). Besides, another Elāpattra narrative is introduced in the Dhammapada Aṭṭhakathā of Buddhagosa on the Dhammpada 182. In these episodes, Elāpattra asks people riddles to find the Buddha, and eventually meets the Buddha. This article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various versions of the episode of Elāpattra and to clarify their significance. In addition to that, I intend to discover the meaning of the questions and answers, and show that Buddha biographies and narratives can be provide clues to idetify the history of Buddhism.
목차
I. 들어가며
II. 『사분율』과 『오분율』의 엘라파트라 설화 분석
III. 엘라파트라 설화의 전개
IV. 엘라파트라의 수수께끼와 ‘여섯 번째 왕’
V. 나가며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근·현대 동아시아의 재가불교사상과 운동
- 원효불교의 재발견과 한국불교의 방향
- 『돈오대승정리결』에서 摩訶衍의 불성 이론을 비불교도들의 아뜨만 이론이라고 비판하는 이는 까말라씰라인가?
- 『아비담맛타상가하(abhidhammatthasaṅgaha)』의 위빳사나 깜맛타나(vipassanākammaṭṭhāna)
- 元曉의 『無量壽經宗要』 찬술 시기의 재검토
- 신라 하대 현실 인식과 佛土觀의 변화
- 유식학의 심리구조에서 말나식의 위상과 그 의의
- 『사르바 다르샤나 상그라하』 「아크샤파다 철학」의 진리지(tattvajñāna)에 관한 고찰
- 현대의 종교문화와 불교의 미래
- 엘라파트라 용왕의 수수께끼
- 원효의 보살사상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불교학분야 NEW
- 이기영 선생의 불교연구와 한국 현대불교학
- 산스크리트 희곡의 플롯에 대한 일고찰 - 『나티야 샤스트라』의 이론과 희곡 『나가난다』의 분석을 중심으로
- 열반의 초월성 이미지와 아라한의 윤리에 대한 고찰 - 뗏목의 비유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