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효불교의 재발견과 한국불교의 방향

이용수 198

영문명
The Rediscovery of Wonhyo Buddhism and the Direction of Korean Buddhism
발행기관
한국불교연구원
저자명
최병헌
간행물 정보
『불교연구』第58輯, 9~58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불교사에서 원효는 거사불교를 대표하는 인물로서 승속불이(僧俗不二)의 보살행을 통하여 신라불교의 사회적 기반을 크게 넓히었고, 대승불교 거의 모든 분야의 경전에 대한 주석 작업을 통하여 종합적인 불교사상체계를 수립함으로써 신라불교를 뛰어넘어 동아시아 불교사상의 발전에까지 크게 기여하였던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의 원효 연구는 수많은 논문과 저술의 양산에도 불구하고 원효의 행적에 대해서는 아직 설화적인 이해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으며, 불교사상에 대해서도 종합적인 이해체계를 수립하기까지는 더 많은 시일이 요구될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이 원효 연구를 어렵게 하는 근본적인 이유로는 우선 자료의 절대 부족을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원효는 승속을 넘나드는 무애한 교화 활동을 전개한 반면에 제자를 적극적으로 양성하거나 종파를 창립하지 않은 결과, 그의 불교는 후대에 제대로 계승되지를 못하였다. 원효의 평생 도반이었던 의상이 화엄종이라는 새로운 종단을 조직하고 제자를 열심히 양성함으로써 이후 불교계의 주류로 등장하여 면면히 계승될 수 있었던 것과 대조되었다. 원효 사후 1,300여년 동안 원효 불교는 계속하여 잊혀져 오는 가운데 몇 차례의 재발견 사례가 발견되었을 뿐이다. 첫째는 9세기초 손자인 설중업이 원효소상과 고선사서당화상비의 조성 등 추모사업을 통하여 학승·교화승·신승으로서의 원효를 현창하였으며, 둘째는 11세기 후반 의천이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이루어진 불전(장소)들을 수집하여 교장(敎藏)이라는 총서로 간행하는 과정에서 원효 불교의 역사적 의의를 발견하고 “화쟁국사”를 추증케 하여 정통 조사의 지위로 끌어올린 적이 있었다. 셋째는 20세기 전반 최남선이 일본 근대불교사학의 영향을 받으면서 일제의 식민지불교사학에 대항하여 한국불교사를 연구하는 가운데 원효불교의 역사적 위치를 발견하고 “통불교론”을 제창하여 이후의 원효불교상의 정립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20세기 후반 이기영은 원효의 불교사상을 본격적으로 연구하여 한국불교사상사의 중심인물로 자리 잡게 함으로써 이후의 불교학계에서의 연구를 선도하는 한편 원효를 거사의 관점에서 시종 일관되게 접근하여 승속불이의 보살사상으로 이해하고 대중화를 위한 실천운동을 전개하여 학문연구와 실천운동을 병행하는 전범을 보여주었다. 이로써 7세기 후반 종합적인 불교사상체계를 수립한 사상가, 그리고 무애의 보살행을 펼쳤던 대중교화사로서의 두 얼굴을 가진 원효의 온전한 모습, 그리고 사회통합과 국가발전에 기여하였던 역사적인 역할이 새롭게 조명될 수 있었다. 오늘날의 한국 불교계에서 원효를 주목하고 재평가하려는 의미는 일차적으로는 과거의 역사로서 원효 불교를 정확하게 이해하려는 것이고, 이차적으로는 현재 한국불교의 좌표를 정확하게 설정하고 앞으로의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려는 데 있다. 오늘날 우리 불교계에서는 출가자 감소와 신자 수효의 정체로 인한 불교의 쇠퇴를 염려하고 있으나, 그보다 더 근원적인 위기는 원효와 같은 뛰어난 사상가이자 대중교화사를 배출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새로운 불교사상체계와 수행방법을 계발하지 못하게 된 불교계의 구조적인 문제이다. 그런데 그보다 더욱 심각한 문제는 그러한 불교계의 문제점과 시대적 과제를 비판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역사의식이 결여되어 있다는 점이다. 출가 재가를 불문하고 무엇보다도 오늘날 불교계의 문제점을 날카롭게 성찰하는 데서 출발하여야 할 것이며, 그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하여 불교연구의 부진과 화석화된 간화선의 집착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서 이 시대 선지식이 될 수 있는 뛰어난 사상가를 배출하고, 시대적 과제에 부응하는 사상체계와 수행방법을 계발하는 일에 매진해야 할 것이다. 특히 종단에서는 전근대적인 종파의식이나 문중의식의 편협성, 화석화된 간화선 지상주의에서 하루빨리 벗어나서 원효 불교와 같은 종합적인 불교사상체계를 수립하는 한편 세속사회 속에 들어가 대중을 교화하는 길로 나서야 할 것이며, 불교계의 체질화된 세속성과 어용성을 청산하고 정치권력과의 관계를 재정립할 것을 촉구하는 바이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머리말
Ⅱ. 원효불교의 역사적 의의
Ⅲ. 원효불교의 전승과정과 원효불교의 재발견
Ⅳ. 맺음말–원효불교 재발견의 의미와 한국불교의 방향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헌. (2023).원효불교의 재발견과 한국불교의 방향. 불교연구, (), 9-58

MLA

최병헌. "원효불교의 재발견과 한국불교의 방향." 불교연구, (2023): 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