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관광수용력과 관광만족도와의 관계
이용수 34
- 영문명
- The partial meadiating effects of tourism policy capa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carrying capa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민경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22권 제1호, 21~3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1.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tourism carrying capacity and tourism policy capacity to tourism resources and tourism infrastructure to enhance tourism satisfaction. In particular, I tr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policy capac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carrying capa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For this purpose, I conducted the multi-mediated effect analysis of the parallel structure by the Process macro method using the standard model of the local tourism development index announc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n 2016.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ourism capacity, tourism policy capacity and tourism satisfaction.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policy capacity on tourism resource distribution and tourism satisfaction is a mediating effect of human capacity, which has a positive partial mediation.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tourism policy capacity on tourism infrastructure and tourism satisfaction is a mediating effect of human capacity, which has a positive partial medi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is the mediative tourism policy capacity that plays the most important role in enhancing the satisfaction of the local tourism by expanding the tourism carrying system such as development of tourism resources and tourism infrastructure. I was able to identify that the mediative tourism policy capacity was a human capacity such as a tourism policy human resources and tourism education. In this regards, I suggested that the specialization of tourist policy personnel and various support systems should be strengthened so that the satisfaction of tourists can be improv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tourist products and the development of various tourist content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설계
IV. 분석결과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 극동지역 관광지 선택속성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문화관광 체험요소와 체험가치가 만족과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 관광수용력과 관광만족도와의 관계
- 호텔종사원의 경력에 따른 조직스트레스와 업무스트레스 차이 연구
- 관광자의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관광중독에 미치는 영향
- 호텔신입사원이 지각하는 불완전취업이 조직시민행동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다차원신뢰의 조절효과에 대한 연구
- 축제 정체성이 축제 이미지와 지역발전 성과에 미치는 영향
- 호텔종사원이 지각하는 고용불안정성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심리적 계약위반 매개효과
- 몽골인들의 한류에 대한 인식이 국가이미지, 관광지이미지 및 관광지 선택의도에 미치는 구조관계 분석
- A Effect of Employee Support on Critical Employee Response and Customer Service Evaluation for Deluxe Hotel
- 4차 산업혁명과 문화예술산업의 융합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방안
- 환경 동태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여행사 스마트폰 앱 품질이 재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기업의 인적자원관리시스템이 직무열의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 기업의 피그말리온 리더행동과 심리적 임파워먼트, 직무성과간의 구조적 관계
- 호텔객실종사원의 감정노동, 직무탈진감과 이직의도와 관계에서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연구
- 모바일 관광정보 서비스 플랫폼 특성이 경험가치, 모바일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 호텔종사원의 조직공정성 인식이 직무만족, 고객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 호텔관광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고객지향성, 서비스내면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고성과 인적자원관리(High Performance)가 경력관리와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