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엘리엇의 『네 사중주』 읽기
이용수 32
- 영문명
- Reading Eliot’s Four Quartets: From the Fleshy to the Spiritual World through Recovering Times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이철희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32권 제2호, 173~1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엘리엇의 『네 사중주』만이 담고 있는 내용의 난해성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의 중심에는 기독교 사상이 자리 잡고 있다는 사실에는 많은 연구자들이 동의한다. 그래서 본 글에서는 기독교 사상 중에서 영의 세계와 육의 세계 그리고 영적 각성을 핵심어로 설정하여 『네 사중주』를 감상해 보았다. 무엇보다도 엘리엇의 난해한 시간 개념 역시 기독교 시각으로 접근하면 어느 정도 해독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또한 『네 사중주』에 자주 등장하는 무시간의 순간 역시 영적 시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이 가시적이며 물리적인 시간에서 해방된 영원하고 무시간적인 순간들을 엘리엇은 정점은 물론 춤과 영의 여름 등으로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순간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기 체념 혹은 자아의식의 제거임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It is very difficult for us to define the main theme of Four Quartets conclusively. Nevertheless, many researchers agree that it is based on Christianity. This paper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Christianity, especially redemption from/in time in Four Quartets. Eliot divides time into two categories: fleshy and spiritual world. Surely Eliot emphasizes the former. So he demands that we pay attention to the spiritual, not fleshy, world. Concentrating on the spiritual world, our soul could be away from the fleshy world. The fleshy time is visible and calculable while the spiritual time is invisible and uncalulable. The way that we could go into the spiritual time is to give our own self up and wait with patience and humility. In Four Quartets Eliot profoundly probes the theme through the still point, love, dance, zero summer.
목차
Ⅰ. 서론
Ⅱ. 시간 회복을 통한 “육의 세계”에서 “영의 세계”로
Ⅲ. 나오며
Works Cited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반 적정과 엘리엇의 『네 사중주』
- 엘리엇의 객관성 시학과 감정의 자리
-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에 관한 T. S. 엘리엇의 계보학적 탐구와 영혼 불멸의 문제
- 전통, 제국과 금본위제
- “Because I Do not Hope to Turn”: Anglo-Catholic Doctrines in Eliot’s Ash-Wednesday
- T. S. 엘리엇의 『가족 재회』에서의 베르그송의 순수 기억과 앵글로 가톨릭의 죄
- T. S. 엘리엇연구 제32권 제2호 목차
- “한겨울의 봄”
- 엘리엇의 『네 사중주』 읽기
- 엘리엇의 『황무지』와 톰슨의 『무서운 밤의 도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