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겨울의 봄”
이용수 49
- 영문명
- “Midwinter Spring”: The ‘Logic’ of “Little Gidding”
- 발행기관
- 한국T.S.엘리엇학회
- 저자명
- 봉준수
- 간행물 정보
- 『T. S. 엘리엇연구』제32권 제2호, 89~122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어문학 > 영어와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1.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T. S. 엘리엇(Eliot)의 「리틀 기딩」(“Little Gidding”)에 구현되어 있는 시적 ‘논리’의 윤곽을 파악하고자 한다. 니콜라스 페라(Nicholas Ferrar)의 종교적 공동체가 있었던 리틀 기딩에는 엘리엇이 자의식을 가지고서 구축한, 고전주의자, 왕당파, 그리고 국교도로서의 정체성이 새겨져 있다. 나아가서 그곳은 시간 속에 그리고 그와 동시에 시간 밖에 존재하며 성육신(the Incarnation)에서 인간의 속성과 신의 속성이 만나듯 역사적이면서 동시에 초월적이라고 상상된다. 「리틀 기딩」은 계절의 기적적인 교차(“한겨울의 봄”)를 앞세우며 시작하는데 이는 시 전체를 특징짓는 역설이며 수사와 주제의 차원에서 동시에 기능한다. 제2차 세계대전의 시로서 「리틀 기딩」은 4원소의 죽음을 통하여 상징적으로 묘사되는 인류문명의 몰락을 목도하지 않을 수 없지만 노리치의 줄리안(Julian of Norwich)이 피력하는 기독교적 비전(“모두가 평안하고 / 만물이 평안하리”)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 비전이 구현되는 것은 불과 장미의 상징이 하나가 될 때인데, 연옥의 시라고 할 수 있는 「리틀 기딩」의 논지를 따르자면 이러한 하나됨은 극단적으로 철저한 자기성찰과 정화를 통해서이다.
영문 초록
This essay traces the contour of the poetic “logic” in T. S. Eliot’s “Little Gidding.” Inscribed in Little Gidding (the site of Nicholas Ferrar’s religious community) is Eliot’s self-consciously constructed identity as classicist, royalist, and anglo-catholic and the place is envisioned to be in and out of time simultaneously, both historical and transcendental in the way the human and the divine intersect in the Incarnation. As a matter of fact, the poem begins with a miraculous seasonal intersection (“Midwinter spring”), which constitutes a paradox so characteristic of the poem as a whole. “Little Gidding” is, indeed, a poem of intersections, and the figure of paradox consistently functions at the rhetorical and thematic levels. As a poem of World War II, “Little Gidding” cannot help but witness to the fall of human civilization symbolically represented in the death of the four elements but ultimately embraces the Christian vision of Julian of Norwich (“All shall be well, and / All manner of thing shall be well”). The vision can be realized when the symbols of fire and rose become one, a union made possible, if we follow this purgatorial poem’s argument, through extremely rigorous self-reflection and purification.
목차
들어가며
리틀 기딩이라는 장소 또는 역사
불의 상징
“한겨울의 봄”
4원소의 죽음과 복합유령
“죽음 속에서 완성된 상징”
“하강하는 비둘기”
“불과 장미가 하나가 될 때”
Works Cited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열반 적정과 엘리엇의 『네 사중주』
- 엘리엇의 객관성 시학과 감정의 자리
- 라이프니츠의 모나드론에 관한 T. S. 엘리엇의 계보학적 탐구와 영혼 불멸의 문제
- 전통, 제국과 금본위제
- “Because I Do not Hope to Turn”: Anglo-Catholic Doctrines in Eliot’s Ash-Wednesday
- T. S. 엘리엇의 『가족 재회』에서의 베르그송의 순수 기억과 앵글로 가톨릭의 죄
- T. S. 엘리엇연구 제32권 제2호 목차
- “한겨울의 봄”
- 엘리엇의 『네 사중주』 읽기
- 엘리엇의 『황무지』와 톰슨의 『무서운 밤의 도시』
참고문헌
관련논문
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BEST
더보기어문학 > 영어와문학분야 NEW
- EFL Students’ Perceptions of ChatGPT Feedback in IELTS Opinion Essays
- 영화 활용을 통한 제2언어 학습에서 맥락의 역할에 대한 연구: 원어민과 유사한 선택과 형태-의미 짝짓기를 기준으로
- 영화 기반 멀티미디어 수업을 통한 EFL 여대생들의 어휘력과 자아 이미지 향상 연구: 영화 아이 필 프리티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