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언어경관을 통해 살펴본 ‘어촌다움’ 회복에 관한 연구

이용수 89

영문명
A Study on the Recovery of ‘Fishing Villageness’ through the Linguistic Landscape
발행기관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저자명
양민호 김준환
간행물 정보
『인문사회과학연구』제24권 제1호, 213~23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도시어촌 형성기의 언어경관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나아가 어촌의 빈약한 생활기반을 회복할 수 있는 모습으로 변모시키기 위해 어촌을 유형화함으로서 도시어촌의 언어경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도시어촌 형성기의 언어경관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지속적으로 다양한 사회적 변인을 구체적으로 도출하고자 한다. 또한 앞서 언급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어촌 속 언어문화를 가장 잘 나타낸 시각적 매개물(예: 어촌 상점의 간판)을 통해 언어 생활문화의 실태 동향과 어촌사회의 정체성 및 ‘어촌다움’의 관련성을 파악하였다. 이는 향후 어촌의 심리적·경제적 자존감을 회복시키며, ‘어촌다움’을 되찾아갈 수 있는 인문학적 기초자료를 확보하여 정책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Daum)의 로드뷰를 통해 어촌(동해, 서해, 남해 등)에서 주로 사용되는 어휘, 업종, 횟수 등을 활용하여 어촌의 특징을 유추하였다. 또한 다양한 문자의 표기 체계와 그 내용에 포함된 어휘로부터 만들어진 어촌의 언어경관에 대한 실태 동향을 분석하였다. 조사지점은 대한민국의 국가어항(國家漁港) 중 초기(1971년)에 지정된 바닷가에 인접한 지역을 대상으로 어촌 주변의 간판을 해양수산과 직접 관련된 상호명과 어휘가 집중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어촌다움’을 회복하기 위해 지속가능한 어촌의 모습을 제안하고 실제로 도출된 ‘어촌다움’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제안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방안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었다. 특히, 기존 어촌관련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언어학적 관점에서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기반으로 접근한 것은 연구의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어촌다움’의 관련성과 어촌의 지역별 균형발전의 필요성을 제기하는데 있어, 어촌활성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어촌다움’의 확립을 확인했다는 측면에서도 시사점이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nguistic landscape of urban fishing villages by collecting data on the language landscape of the urban fishing village formation period and further transforming the poor living base of the fishing village into a shape that can be restored.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collect data on the linguistic landscape during the formative period of urban and fishing villages, and to derive various social variables continuously. In addi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forementioned purpose of th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rrent status of language life culture, the identity of the fishing village society, and the fishing villageness is examined through visual media (e.g., signboards of fishing village shops) that best represent the language culture in the fishing village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cover the psychological and economic self-esteem of fishing villages in the future and to propose policies by securing basic humanistic data that can restore the fishing 'villageness'.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fishing villages were inferred by using vocabulary, type of industry, frequency, etc. mainly used in fishing villages (East Sea, West Sea, South Sea, etc.) through Daum's road view. In addition, the actual trend of the language landscape of fishing villages made from the various writing systems and vocabulary included in the contents was analyzed. As for the survey site, the area adjacent to the beach designated in the early period (1971) among the national fishing ports of the Republic of Korea was investigated to see if the signboards around the fishing villages were concentrated with trade names and vocabularies directly related to maritime and fisheries. This study was to propose a sustainable fishing villageness in order to restore 'fishing villageness' and suggest a new approach to 'fishing villageness' that was actually derived, and to identify ways to effectively utilize it. In particular, it is meaningful to approach based on variou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from the linguistic point of view, which was rarely dealt with in previous research on fishing villageness. In raising the relevance of 'fishing villageness' derived through this study and the need for balanced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s by region, there are implications in terms of confirming the establishment of 'fishing villageness' that can actively cope with revitalization of fishing villageness.

목차

Ⅰ. 서론
Ⅱ. 관련연구
Ⅲ. 연구방법 및 분석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양민호,김준환. (2023).언어경관을 통해 살펴본 ‘어촌다움’ 회복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4 (1), 213-238

MLA

양민호,김준환. "언어경관을 통해 살펴본 ‘어촌다움’ 회복에 관한 연구." 인문사회과학연구, 24.1(2023): 213-2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