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북부 비옥한 초승달 지대 초기 도시체제의 농업경영과 전략

이용수 189

영문명
Crop husbandry and agricultural strategies of early urban systems in the northern Fertile Crescent of the Bronze Ag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김현영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4집, 244~279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텔 모하메드 아랍, 텔 브락, 알랄라크의 세 유적에서 발견된 탄화 작물 및 경지잡초를 분석하여 청동기 북부 비옥한 초승달지대의 농업경영과 전략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 모델에 따르면 과거 이 지역에서의 농업생산량은 수천 년에 걸쳐 크게증가하였다. 이것이 어떻게 가능했는지 즉 경지 면적을 확장하여 이루어졌는지 아니면 토양관리나 물, 비료 등의 투입을 통해 토지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켜서 달성되었는지에 대하여 작물생산과직접적으로 관련된 고식물유체로 입증해 본다. 본 연구에서는 탄소및 질소 안정동위원소와 기능적잡초생태 분석을 통해 작물 및 경지잡초에 대한 새로운 데이터를 도출하였으며 분석 결과 이 시기 농업경영은 경작지의 단위면적당 생산량을 증가시키려고 하기보다 경지의 면적을 확대하여 농업생산량을 촉진하는 데 주력했다는 것을 논증하였다. 이러한 저투입 농업은 특히 취락의 규모와 밀접한 관련성을 나타냈으며, 따라서 그 규모를 결정짓는 도시화와의 상호 연관성도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is to analyse major crop and arable weed plant material from three archaeological sites, Tell Mohammed ‘Arab, Tell Brak and Alalakh in order to investigate crop husbandry and agricultural strategies across the northern Fertile Crescent in especially the Late Bronze Age of the second millennium BC. The existing models require agricultural output to increase substantially over a period of several thousand years. With some recent exceptions, how this was achieved, whether by increasing the area of land under cultivation (extensification) or the amount produced per unit of land, by increasing inputs in terms of soil working, water and/or fertiliser (intensification), has not been established to any reasonable extent based on the remains of crop production themselves. The new data on crop spectra and associated arable weed taxa is analysed using weed functional ecology and crop stable isotope analysis, which provide direct evidence of crop growing conditions and consequently the nature of land management practices. The reconstruction of ancient crop husbandry practices drawn from weed functional ecology and crop stable isotope results demonstrates that contemporary farmers endeavoured to promote agricultural output by increasing the unit of land under cultivation rather than by increasing the amount produced per area of land, inputs in terms of soil working or water and/or fertiliser. The archaeobotanical assemblages provide a certain diversity of cropping strategies and relatively extensive/low-intensity regimes, depending especially on settlement scale. Overall, a strong correlation is observed among these different dimensions of agricultural activity, urbanisation cycles and environment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방법론
Ⅲ.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현영. (2023).청동기시대 북부 비옥한 초승달 지대 초기 도시체제의 농업경영과 전략. 호서고고학, (), 244-279

MLA

김현영. "청동기시대 북부 비옥한 초승달 지대 초기 도시체제의 농업경영과 전략." 호서고고학, (2023): 244-2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