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의 전개양상과 지역성

이용수 325

영문명
A Study on Development and Locality of Jugu-Togwangmyo in Midwest Region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정태영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4집, 87~12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주구가 부가된 분묘를‘주구토광묘’라통칭하여 다룸으로써 원삼국시대 주구토광묘의 전개양상과 성격을파악하고자 하였다. 우선 주구토광묘의 특성을 보여주는 구성요소로 판단한 매장주체시설, 봉토, 주구, 매장형식의 요소를 결합하여 15개의 형식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시간에 따른 변화가 두드러지는 유물들을 기반으로주구토광묘의 조성시기를 크게 세 시기로 편년하여 주구토광묘의 등장과 전개양상, 그리고 지역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 결과 중서부지역의 주구토광묘는 주구에서 채토한 흙으로 방대형의 봉토를 조성한다는 새로운 매장개념이 도입되어 나타난 묘제로목관, 마운드, 주구라는 본질적인 성격을 가지며, 기원후 2세기 중엽중서부지역에 등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후 주구토광묘는 중서부지역 전역으로 확산되면서 칸막이형 목관, 분리형 목관, 목곽 등 새로운 매장주체시설의 채용, 주구의 연접확장이나 합장과 같은 수평 확장 양상, 분구 내 다장과 같은 수직 확장 양상이 등장하며, 이러한 요소는 각 지역권 및 지역중심지에 따라차이가 인식된다. 부장유물의 양상에 있어서는 내륙축과 서해안축의두 갈래로 크게 나눠지는 양상을 보이지만, 각 지역중심지 별로 지역성을 가지는 부장유물 또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하여 중서부지역의 주구토광묘의 성립과 발전의 배경은 크게는 내륙축과 해안축의 양대 교통로를 통한 문화 및 인적자원의 유입이라는 점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지역중심지 별로 그 지역의 상황에 따라 특정 유물들을 선택하여 받아들이는 등 일종의 취사선택을 통한 선별적인 문화의 수용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원삼국시대 당시 중서부지역의 사회가 매우 역동적이었다는것을 보여주며, 여기서 확인되는 지역중심지들은 마한 소국의 입지와도 관련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pit tomb with ditch’ built around them in midwestern regions we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Jugu-Togwangmyo’, and tried to understand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Jugu-Togwangmyo’ in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First of all, 15 types were derived by combining the elements of burial facility, mound, ditches, and burial type. which were judged to be the components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Jugu-Togwangmyo’. And based on the artifacts that show remarkable changes over time, the creation period of the ‘Jugu-Togwangmyo’ was divided into three periods, and the appearance, development and regionality of the ‘Jugutogwangmyo’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Jugu-Togwangmyo’ in the mid-western region was a tomb that appeared due to the introduction of a new burial concept of creating a large mound and had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wooden coffin, mound, and ditches, It was confirmed that it appeared in the mid-western region in the mid-2nd century AD. Since then, The spread of ‘Jugu-Togwangmyo’ throughout the Midwest region saw the adoption of new burial facilities such as partitioned wooden coffins, detached wooden coffins, and wooden chambers. Horizontal expansion aspects, such as the joint expansion of ditches or joint burials, and vertical expansion aspects, such as multi-burial burials within mounds, also appeared. These factors differed according to each region and regional center. The burial artifacts wer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inland areas and the west coast area, but burial artifacts with regional characteristics were also identified for each regional center. Through this, the background of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Jugu-Togwangmyo’ can be largely attributed to the influx of cultural and human resources through the major transportation routes of the inland areas and coastal area. It can also be seen that selective cultural adoption occurred through a sort of choice by accepting specific artifacts based on the circumstance of each regional center. This shows that the society in the central and western region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as very dynamic, and the regional centers identified here can also be related to the location of Mahan's small state.

목차

Ⅰ. 머리말
Ⅱ. 주구토광묘의 기존연구와 개념
Ⅲ. 주구토광묘의 검토
Ⅳ. 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의 전개양상과 지역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태영. (2023).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의 전개양상과 지역성. 호서고고학, (), 87-124

MLA

정태영. "중서부지역 주구토광묘의 전개양상과 지역성." 호서고고학, (2023): 87-12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