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춘천 중도 청동기시대 주거지군의 획기와 전개

이용수 380

영문명
Periodization and Development of a Dwelling Cluster in Jungdo-dong, Chuncheon in the Bronze Age
발행기관
호서고고학회
저자명
오강원
간행물 정보
『호서고고학』54집, 44~86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2.28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도 주거지군은 전체 6개 단계 8개 획기로 나누어진다. 중도 제Ⅰ단계(기원전 11세기)~제Ⅲ단계(기원전 9세기)는 돌대문토기, 이중구연토기, 환저직립구연토기 등이 조합하는데, 제Ⅰ단계는 소형 무시설식노지 주거지와 중대형 위석식노지 주거지, 제Ⅱ단계(기원전 10 세기)는 대형 위석식노지+무시설식노지 주거지, 제Ⅲ단계(기원전 9 세기)는 소형 무시설식노지 주거지가 조합한다. 제Ⅳ-1단계(기원전 6 세기)는 소형 무시설식노지 주거지와 공열문토기 외에 비파형동검과각종의 석검·석창·석촉 등이, 제Ⅳ-2단계(기원전 5세기)는 중형점토다짐면 무시설식노지 주거지와 Ⅳ-1단계와 유사한 유물이 공반한다. Ⅴ-1단계(기원전 4세기)는 대형 점토다짐면 무시설식노지 주거지와 공열문토기 등이, 제Ⅴ-2단계(기원전 3세기 초엽~후엽)는 중형점토다짐면 무시설식노지 주거지와 공열문토기와 원형점토대토기 등이, 제Ⅵ단계(기원전 3세기 말엽~2세기 중엽)는 소형 무시설식노지·무노지 주거지와 공열문토기, 원형점토대토기 등이 조합하는 단계이다. 중도 주거지군은 제Ⅳ-2단계가 최성기를 이루는데, 이는 이단계가 전체 중도 주거지 총면적의 47%인 것에서 잘 드러난다. 제Ⅰ단계의 소형 주거지군은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육지부 돌대문토기 집단의 계절적, 일시적 경제행위에 의해 남겨진 주거지인 것과 연관이 있다.

영문 초록

The dwelling cluster of Jungdo-dong is largely divided into six stages and eight periodization. The period from the Stage I(11th century BC) to the Stage Ⅲ(9th century BC) in Jungdo-dong was characterized by a combination of raised band decoration pottery, doublerimmed vessel, and rounded bottom upright rimmed pottery; a small-sized plain pit hearth dwelling and a medium and large-sized stone-lined hearth dwelling are combined in the Stage I(11th century BC), a large-sized stone-lined hearth dwelling and a plain pit hearth dwelling in the Stage Ⅱ(10th century BC), and lastly a small-sized plain pit health dwelling in the Stage Ⅲ (9th century BC). In addition to the small-sized plain pit hearth dwelling and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y,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various stone daggers, stone spearheads, stone arrowheads, etc. are associated in the Stage Ⅳ-1 (6th century BC), but in the Stage Ⅳ-2(5th century BC), the compacted medium-sized clay surface, the plain pit hearth dwelling, and artifacts similar to those of the Stage Ⅳ-1 are associated. The compacted large-sized clay surface, the plain pit hearth dwelling,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y, etc. are combined in the Stage Ⅴ-1(4th century BC), the compacted middle-sized clay surface, the plain pit hearth dwelling,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y, the round attached-rim vessel, etc. in the Stage Ⅴ-2 (early to late 3rd century BC), and lastly the small-sized plain pit hearth, the hearth-free dwelling, the rim perforation decorated pottery, the round attached-rim vessel, etc. in the Stage Ⅵ(late 3rd century BC to mid 2nd century BC). The dwelling cluster of Jungdo-dong reached its peak in the Stage Ⅳ-2, which was clearly evident from the fact that the dwelling cluster in the Stage occupied 47% of the total area of Jungdodong. The small-sized dwelling cluster in the Stage I had the smallest proportion,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dwelling left over from the seasonal and temporary economic activities of the raised band decoration pottery group.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사현황과 분석방식
Ⅲ. 획기와 편년
Ⅳ. 주요 현상과 전개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강원. (2023).춘천 중도 청동기시대 주거지군의 획기와 전개. 호서고고학, (), 44-86

MLA

오강원. "춘천 중도 청동기시대 주거지군의 획기와 전개." 호서고고학, (2023): 44-8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