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식품 유형선택에 관한 분석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the Selection of HMR Food Types by Dietary Lifestyle
- 발행기관
- 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서영태 김현주
- 간행물 정보
- 『관광경영연구』제25권 제3호, 191~20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1.05.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mprovement directions and specific marketing strategies for each HMR food type by studying the effects of dietary lifestyle, demographic factors and HMR food use patterns on HMR food type selection. HMR food types were classified as soup, noodles, rice, restaurant food/drinking snacks, and frozen foods. As a research method, the MNL(Multinomial Logit Model) was used.
Among dietary lifestyles, it turns out that there is a positive(+) effect(+5% significance level) each of trend-seeking type and health-seeking type to soup and rice. Also, it appeared that there is a negative(-) effect(-10% significance level) of health-seeking type to restaurant food/drinking snacks while gastronomic type effect positively(+5% significance level).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that health-seeking type shows positive results in rice choice, whereas restaurant food/drinking snacks HMR foods are negatively affected so that they are required to take effort on improving images by marketing strategies, which highlight quality improvement or reduction of condiments usage. In the case of the trend-seeking type, as positive results have been shown in soup choice, soup HMR food needs to focus on developing new products rather than improving the quality of existing products. In addition, regarding gourmet types, tend to spare no investment in tasty food, they requires to take exertion on the accumulating information on new foods and restaurants that are rapidly changing to commercialize it as HMR food and persistent quality improvement by development of recip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자료 및 모형설정
Ⅳ. 실증분석 및 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숙박 O2O의 온라인 플랫폼 및 오프라인 브랜드 품질이 만족, 애착, 관계지속 및 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식당 리더십 유형이 종사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관광 젠트리피케이션 대응 정책 수립을 위한 로컬 관광거버넌스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 업사이클링 식음공간 속성이 감성경험과 애착감형성 및 소비자의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前 오버투어리즘 현상과 대응 정책에 관한 고찰 연구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예방행동에 대한 관광 및 외식 경험자의 주관적 인식 유형
- 외식 배달 애플리케이션의 e-서비스 품질이 브랜드 이미지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IPA 분석을 활용한 배달앱 이용고객의 선택속성에 관한연구
- 친환경 호텔특성과 친환경 정서적 가치, 정서적 웰빙 및 친환경 행동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HMR식품 유형선택에 관한 분석
- 호텔 서비스품질과 관계혜택, 고객만족에 관한 연구
- 중국 도시관광의 회복적 서비스스케이프가 관광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역 소셜미디어 마케팅 활동이 신뢰와 정보공유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저비용항공사 직무환경, 직무만족, 이직의도 관계연구
- 호텔기업 수요자 중심 기술혁신 지표의 중요도 및 우선순위 평가
- 온라인 HMR소비자의 정보채택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여행업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감정소진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디저트 카페의 관계효익이 이용행동에 미치는 영향
- 항공서비스전공 학생들의 온라인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습몰입과 재 수강의도에 미치는 영향
- 국내 5성급 호텔 스테이케이션 이용 고객의 지각된 가치, 만족도, 신뢰 및 추천의도 간 영향관계 연구
- 식도락관광을 활용한 관광객 유치 활성화 방안
- 학습몰입이 자기효능감과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농촌관광동기의 push-pull요인이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19 위험인식에 대한 낙관적 편향이 잠재 관광객의 관광의도에 미치는 영향
- 한식 디저트 카페 선택속성이 서비스 가치와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
- 지방자치단체의 유튜브 콘텐츠 특성이 지역이미지,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항공서비스 전공 학생의 취업불안이 전공만족도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감정노동이 직무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광목적지의 지각된 위험이 방문객의 태도, 구매의도 및 전환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서비스종사원이 경험하는 고객 무례함 유형과 인식에 관한정성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