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본 고대국가와 예능

이용수 25

영문명
The court entertainment in Ancient Japan: Based on the subordinate Performing Arts of the 8, 9th century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정진아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0輯, 185~20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8‧9세기의 사쯔마(薩摩)‧오스미(大隅)지역의 하야토(隼人), 발해사절, 백제왕씨의 복속의례를 대상으로 이적(夷狄)과 제번(諸蕃)을 주축으로 하는 일본 고대조정의 화외인(化外人)에 대한 인식체제가 복속의례형 예능에서는 어떠한 개별적인 속성으로 드러나며, 관찬사서 내에서 이들의 예능 상연과 관련된 용어들이 일본의 번국관념의 구조적인 특성과 어떠한 연결고리를 가지는지에 대해서 고찰해 보았다. 하야토는 국(國)의 설치 → 준인사(隼人司)의 설치 → 반전제(班田制)의 시행 → 조공의례의 폐지 → 『연희식(延喜式)』에서의 역할규정으로 이어지듯이, 율령국가의 제도권으로 편입시킨 후 왕권의 수호자로 치환시켜가는 과정이었으며, 공민화 작업과 궤를 같이하면서 관찬사서내의 하야토의 복속의례형 예능의 표기는 풍속가무에서 속기(俗技)로 변화되어 갔다. 발해사는 일본에 입경하게 되면 일본이 설정한 빈례(賓禮) 절차를 따르게 된다. 빈례의 핵심은 발해사에 의한 본국악(무)의 주상이었지만 육국사에서 본국악을 연주한 사례는 극히 드물었다. 일본의 소중화 논리를 극명하게 시각화할 수 있는 것이 의식에서의 번객의 본국악 연주였기 때문에, 일본 고대 조정은 헤이안(平安)시대의 의식서에도 번객의 본국악 연주를 상정한 예외규정을 설정하게 된다. 이는 관념상의 번국의식이 실제의 예외규정으로 이어진 사례이며, 번객의본국악 연주가 있을 때는 기존의 의식이 중지되었다. 백제왕씨는 왕민화가 이루어진 씨족이었지만 헤이안시대에 이르기까지 관찬사서에서의 백제왕씨의 예능은 백제왕씨=백제왕권이라는 전제 하에 이루어지는 ‘백제국의 풍속가무’로 표출되었다. 일본 고대조정에서는 이적에 의한 왕권수호보다는 의례공간에서의 번객에 의한 본국악 연주가 천황제 지배의 완결성을 보여주는 강력한 장치였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번객의 본국악 연주는 규정된 의식의 흐름을 변경시키거나 번객이라는 가상의 존재를 염두에 둔 예외규정으로 이어질 정도로, 관념과 현실적인소중화 세계의 재구성에 괴리가 일어났기 때문이다. 이는 백제왕씨의 악무상연을 천황과의사적인 관계성보다 복속과 충성을 상징하는 번속의 악무로 보려는, 현실과 다른 관찬사서의인식이 이와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적과 번으로 상징되는 이민족은 일본의천황과 양인공동체의 결속을 보강하기 위한 논리로 충분히 기능하였지만, 번의 설정 및 복속의례형 예능을 통한 종주(宗主)의식이 한층 더 강력하게 드러났다는 점에서 일본 고대 천황제의취약한 성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how the recognitions of the Japanese ancient royal court on the foreigners who were not subject to the royal court were revealed as individual features and how the terms related to their art performances in the official history books compiled by the nation were related to the Japanese sense of Little Sinocentrism. It was studied based on the subjugating ritual music and dance rites performed by Hayato people in Satzma and Osmi, Balhae envoy, and the royal clans of Baekje Kingdom in the 8th and the 9th centuries. Hayato people were in the transformation process from the antagonist against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to guardians of the royal authority by getting refined their rebellious nature. The terms that described Hayato's subjugating ritual-style art performance in the official history books of the nation have changed from Hayato-specific folk art performance to general art performance. When Balhae envoys entered Japan, they followed the procedures of the welcoming diplomatic rites arranged by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The core of the ritual consisted of Korean music and dance performed by Balhae envoys. However, according to the Six National Histories of Japan, it was very rare that Balhae’s music and dance were actually played. Royal clans of the Baekje Kingdom were those who became the people of the Japanese emperor. However, until the Heian period, the art performances performed by them were described as “the folk songs and dances of Baekje Kingdom” under the premise that royal clans of Baekje Kingdom meant the royal authority of Baekje Kingdom.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believed that the performanc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by Balhae and Silla's diplomatic envoy in the ritual space was a powerful device to show the completeness of the emperor's ruling, having a stronger effect than the royal power protected by Hayato. It was because there was a gap between the concept and the realistic world of Little Sinocentrism. The performance of Korean music by Korean envoys changed the flow of the fixed consciousness or led to a special rule with the virtual existence of foreign envoys from Balhae and Silla in mind. This can be seen as a different perception from the reality that the act of art performance in front of the emperor by royal clans of Baekje Kingdom was viewed as a music performance symbolizing subjugation and loyalty to the emperor rather than a personal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The foreign tribes from each region who did not subject to the ancient Japanese royal court and the tribes of Balhae and Silla functioned sufficiently as logic to reinforce the solidarity of the Japanese emperor and the people of the emperor. However, it also implicates the weak character of the ancient Japanese imperial system in that their perception of the king and the subjects were revealed stronger through the setting of foreign tribes and the subjugating ritual-style art performance.

목차

Ⅰ. 서론
Ⅱ. 하야토의 조공의례와 발해사의 빈례(賓禮)
Ⅲ. 일본 고대국가와 화외인(化外人)
Ⅳ. 백제왕씨와 복속의례형 예능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아. (2022).일본 고대국가와 예능. 선사와 고대, (), 185-207

MLA

정진아. "일본 고대국가와 예능." 선사와 고대, (2022): 185-2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