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

이용수 55

영문명
Trends and Issues of Balhae Archaeological Research in Chinese Academics: Focusing 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2010-2022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김진광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0輯, 157~1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중국학계에서 발표된 고고학 연구성과를 검토하였다. 동시기에 발표된 연구성과는 박사학위논문 4편 포함 총 136편이다. 그 연구주제도 건축을 비롯하여 관광, 교류 분야 등으로 다양하다. 주목되는 것은 관광 및 정책 분야의 논문이 25편이 발표되어 전체의 약 22%에 이른다는 점과 정부의 지원이 대폭 확대되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발해 유적ㆍ유물에 대한 학문적 관심이 유적의 보호, 활용 및 확산으로 확대되었음과 신진연구자들의 연구의욕을 고취하는데 매우 큰 지렛대 역할을 하였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환경은 곧 연구주제 외연 확대도 견인하였다. 연구자들의 연구 의식 고취, 연구 내용 심화 등에 동기를 부여하였음은 분명하다. 그러함에도 각 주장의 기저에는 발해사의 각 분야는 ‘당 문화’로부터 영향을 받지않은 것이 없고, 그 연원조차 당을 배제하고서는 전혀 이해할 수 없다는 ‘당’, ‘당 문화’에 대한종속적 인식이 깔려 있다. 연구성과는 그 수량이 이전보다 비약적으로 늘었고, 그 주제의 폭도 크게 확장되었다. 하지만 그들의 주장이나 인식은 분석 기간 이전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다. 오히려 기왕의 논리가더욱 강화되었다. ‘당’, ‘당 문화’에 대한 영향력이 강조되면 될수록 발해의 종속성에 대한 인식은 더욱 심화되었다. 종국에는 “당의 지방정권”, “통일적 다민족국가”, “나라 안의 나라” 등중국학계의 역사 인식이 더욱 견고해져 “발해사=중국사”의 논리가 고착화되었다는 우려를 불러온다. 따라서 중국학계의 연구 동향이나 연구주제의 확산, 연구주장에 대한 치밀한 검토와모니터링이 필요하다. 최근 중국국가박물관의 고구려사 발해사 연표 삭제 사건이 있었다. 중국 정부ㆍ학계의 역사인식이 반영된 결과이다. 이러한 역사 왜곡 움직임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연구자 개개인의 왕성한 활동으로 발해사 각 연구주제에 대한 심화가 필요하다. 문헌자료에 대한 검토가 더욱 치밀해져야 하고, 다양한 고고학 성과와 각종 보고자료 및 고고 현장에 대한 더욱 치밀한 검토와검증이 뒤따라야 한다. 순수 학문적 주장과 인식에 대한 점검 및 검증은 물론, 발해 고고학 발굴성과 및 연구성과들이 어떻게 대중화되고, 그것이 어떤 지향점으로 상품화되는지, 그 일련의과정에서 어떤 정책들이 입안되고 실행되는지 연구자 및 학계 차원의 지속적인 추적 관찰, 분석 및 대응 방안 도출도 필요하다. 또한 적시에 적확한 연구를 위해 정부와 학술단체의 지속적인 관심도 절실하다. 장기적으로는 전문연구자의 양성, 발해사를 전공하는 학문 후속세대를양육할 프로그램 개발 및 발해사 연구와 활성화를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Since 2010, a total of 136 archaeological research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Chinese academia, including four doctoral papers. The research topics are also diverse in the fields of tourism and economic exchange, including architecture. What is noteworthy is that 25 papers in the field of tourism and policy have been published, accounting for about 22% of the total, and government support has been greatly expanded. This means that academic interest in the remains and relics of Balhae has expanded to the protection, utilization, and spread of the ruins, and played a very large role as a lever in encouraging new researchers to study. This environment soon led to the expansion of the research topic. It is clear that it motivated researchers to raise research awareness and deepen research contents. Nevertheless, underlying each argument is the subordinate perception of the “Tang Dynasty, Tang Dynasty culture” that each field of Balhae history is not affected by the “Tang Dynasty culture”, and its origin cannot be understood at all without excluding the Tang Dynasty. The number of research results has increased dramatically than before, and the scope of the subject has also expanded significantly. However, their claims and perceptions were not much different from the situation before the analysis period. Rather, the logic of the past has been strengthened. As the influence on “Tang Dynasty” and “Tang Dynasty culture” was emphasized, the dependency of Balhae intensified. In the end, this perception raises concerns that the logic of “Balhae History = Chinese History” has become more solid as Chinese academia's perception of history, such as “the local regime of the Tang”, “unified multi-ethnic state”, and “the country within the country” has become entrench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review and monitor research trends, spread of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claims in Chinese academia. Recently, the Chinese National Museum deleted the chronology of the history of Balhae in Goguryeo. This is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and academia. In order to cope with this historical distortion movement, it is necessary to deepen the research topic of Balhae's perspective through the vigorous activities of each researcher. The review of historical materials should be more thorough, and it should be accompanied by an understanding of various archaeological achievements and a more detailed review and verification of various reporting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sites. In addition to checking and verifying pure academic claims and perceptions, it is urgent to continuously observe, analyze, and respond to the popularization of Balhae archaeological findings and research results, and what policies are devised and implemented in this series. In addition, continuous attention from the government and academic organizations is needed for timely and accurateresearch. In thelong run, a program to nurture the next generation of academics majoring in Balhae history, or a plan to research and revitalize Balhae history should be established.

목차

Ⅰ. 머리말
Ⅱ. 최근 발해사 연구의 동향
Ⅲ. 발해 고고학의 연구주제별 쟁점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진광. (2022).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 선사와 고대, (), 157-184

MLA

김진광. "중국학계의 발해 고고학 연구 동향 및 쟁점." 선사와 고대, (2022): 157-1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