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인과 최근 연구 경향

이용수 51

영문명
A driving force of Balhae History Research in Chinese Academics and Recent Trends: Focusing on 『The history of Balhae(渤海史)』 of Wei Guo-Zhong(魏國忠)
발행기관
한국고대학회
저자명
권은주
간행물 정보
『선사와 고대』70輯, 121~155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의 ‘동북공정’으로 대표되는 한중 역사 논쟁은 중국 학계가 역사적 ‘禁區’로 여겨지던고구려사를 필두로 한국 고대 북방사를 중국사로 편입하려는 논의를 공식화하면서 촉발되었다. 그러나 발해사에 대한 중국 학계의 기본 서술은 ‘동북공정’을 전후로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근대 중국의 발해사 연구는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으로 동북 변경 지역의 위기가 고조되는상황에서 변강의 위기를 극복하는 수단으로 동북사를 정립해 가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근대중국은 발해를 ‘중국의 고대 소수민족인 靺鞨이 주체가 되어 세운 唐의 지방 정권’이며, 숙신읍루-물길-말갈(발해)-여진-만주(청)으로 이어지는 일원적 계통론을 정립했다. 이시기 대표적인 연구자는 ⾦毓黻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이후에는 유물사관과 북한과의 관계로 발해사를 중국사로 주장하는 모습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그런데 문화대혁명이 종결된 이후 북한의 박시형과 주영헌을 대표로 발해를 한국사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로 강조한 것이 알려지며, 중국의발해사 연구를 자극하였다. 그 결과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까지 중국의 발해사 연구는발해의 족속, 내원, 주체민족 및 역사귀속 문제 등을 주요하게 다루었다. 그리고 1992년 한중수교 이후에는 남한의 발해사 연구가 또 중국을 자극하였다. 이후 ‘동북공정’을 거치며 중국의발해사 연구는 크게 성장하였다. 1980년대 이후 약 40년 동안 중국의 발해사 연구를 대표할 수 있는 사람은 魏國忠이다. 최근 나온 『渤海史』는 웨이궈중의 발해사 인식과 쟁점뿐 아니라 중국 학계가 발해사 연구를 통해무엇을 의도하고 있는지를 잘 보여준다. 결론은 한국사와 관련이 없는 중국사의 일부이며, ‘통일적다민족국가론’에 입각하여 독립국이 아닌 오늘날 ‘特區’와 같은 당의 지방정권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최근 3년간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는 기존 중국 학계의 인식을 견지하면서도, 시진핑 집권 제2기를 맞아 중국의 우수전통문화와 역사 정책 및 연구지원과 맞물려 새로운전환을 겪고 있다. 특히 중국 정부의 정책적 고려와 중앙과 지방 차원의 학술적 지원은 중국과한국의 발해사 연구 격차를 심화시킬 것으로 우려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발해사 연구를진작시키기 위해서는 일국사를 넘어 동아시아사 시각에서 발해사를 연구할 필요가 있으며, 발해 유적이 있는 북한‧러시아와의 학술교류 심화, 신진연구자 육성을 위한 안정적인 지원시스템 등을 갖출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Korea-China history debate, represented by China's “Northeast Project” was sparked by Chinese academia's formalization of discussions to incorporate ancient Korean Northern History into Chinese history, led by Goguryeo history, which was considered a historical “prohibited zone (禁區)”. However, the basic description of Balhae Temple in Chinese academia did not change much before and after the 'Northeast Project'. The study of Balhae history in modern China was conducted with the establishment of Northeast History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crisis of the frontier in the face of escalating crisis in the Northeast due to the invasion of imperialist powers. Modern China established Balhae as a “local regime of the Tang established by China's ancient minority, Malgal”, and established a unified genealogy theory leading to Sukshin - Eupru - Mulgil - Malgal(Balhae) - Yeojin - Manchu(Cheong). The representative researcher at this time was Jin Yu-Fu(⾦毓黻).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the appearance of claiming Balhae Temple as Chinese history has subsided. However, after the end of the Cultural Revolution, it was known that North Korea's Park Si-Hyung and Joo Young-Heon claimed Balhae as Korean history as representatives and emphasized it as a country that succeeded Goguryeo, stimulating China's research on Balhae history. Accordingly, from the late 1970s to the 1980s,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lhae in China mainly dealt with problems such as the ethnicity, origin, subject ethnic group, and historical attribution of Balhae. And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China in 1992,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lhae in South Korea stimulated China again. Since then, research on Balhae history in China has grown significantly through the 'northeast process'. For about 40 years since the 1980s, Wei Guo-Zhong(魏國忠) is the one who can represent the study of Balhae history in China. The recent “The history of Balhae(渤海史)” shows not only the perception and issues of Balhae History in Wei Guo-Zhong, but also what the Chinese academic community intends to do through Balhae History research. The conclusion is that it is part of Chinese history that is not related to Korean history, and based on “The unified multi-ethnic Nation theory“, it is not an independent country, but a local government of the party like the “special zone(特區)” today.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perception of Chinese academia in the past three years, Chinese academic research has been undergoing a new transition in conjunction with China's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historical policies, and research support in the second period of Xi Jin-Ping's rule. In particular, the Chinese government's policy considerations and academic support at the central and local levels are feared to deepen the gap in research on Balhae history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study Balhae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East Asian history beyond ‘a national history’ in order to promote the research on Balhae history in Kore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epen academic exchanges with North Korea and Russia, wherethe remains of Balhae arelocated, and to establish a stable support system for emerging researchers.

목차

Ⅰ. 머리말
Ⅱ.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인과 웨이궈중의 역할
Ⅲ. 웨이궈중의 『발해사』를 통해 본 중국 학계의 발해사 기본 쟁점
Ⅳ. 최근 3년간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경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은주. (2022).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인과 최근 연구 경향. 선사와 고대, (), 121-155

MLA

권은주. "중국 학계의 발해사 연구 동인과 최근 연구 경향." 선사와 고대, (2022): 121-1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