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의 전개양상

이용수 291

영문명
Development of the Settlement in Ulsan Areas During the Three Hans Period: Focusing on the dwelling
발행기관
영남고고학회
저자명
김나영
간행물 정보
『영남고고학』제95호, 43~80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3.01.30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을 광의적 측면에서 주거지, 지상식 건물지, 분묘 등의 기반시설을 검토한 후 각 시기별 취락의전개양상을 살펴보았다. 취락의 시기는 문화 변동양상에 따라 크게 Ⅰ기~Ⅳ기로 구분된다. Ⅰ기는 원형점토대토기를 표지로 하며, 울산지역에 삼한시대 취락이 형성되는 단계이다. 울산지역에 유이민들이 유입 및 이주해 옴에 따라 기존 재지민의 문화와 공존 및 융합되는 양상이 확인된다. 주거지의 형태는 주로 청동기시대 울산식 주거지에서 변형된 형태로 평면 방형계에 무시설식노시설을 갖춘 단순한 구조를 보인다. 분묘는 석곽묘, 옹관묘 등 청동기시대부터 사용된 묘제 문화가 지속된다. Ⅱ기는 삼각형점토대토기를 표지로 하며, 주거 형태와 수혈, 분묘 등의 취락 양상은 Ⅰ기와 유사하다. 그리고 소규모 단위의 취락이 계속해서 형성되며 정착해 나간다. Ⅲ기는 전기와질토기를 표지로 하며, 취락의 규모가 앞 시기에 비해 확대·변동되는 양상이 간취된다. 주거지는 앞 시기 방형계 주거지가 지속되면서 새롭게 부뚜막 및 온돌시설을 갖춘 평면 원형계 주거지가 출현한다. 분묘는 수장묘의 단독 조성과 그 하위 분묘군의 군집 축조의 양상이 보인다. 이 시기부터 울산지역에 삼한 소국이 성립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성립의 계기는 유이민들의 유입과 달천광산의 철광석 채굴(채광)에 있었을 가능성이 큰 것으로 보인다. Ⅳ기는 후기와질토기를 표지로 하며, 주거지는 부뚜막 및 온돌시설을 갖춘 평면 원형계 주거지가 지속되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주변지역과 교류양상을 보여주는 마한계4주식 주거지와 중도식 주거지가 확인된다. 울산지역은 대체로 3세기 중·후엽부터 취락의 기능분화, 대규모 중심취락의 조성, 대형 분묘군의 조성 등 많은 문화변동이 있었으며, 주변 지역과도 문화·경제적으로 다양한 교류와 영향 등을 받았던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After examining the settlements of the Samhan period in Ulsan from the wide-ranging area, the foundation facilities such as housing, ground-based buildings, and tombs were examined, the development phase of the housing and settlements in each period was examined. The period of settlement is largely divided into phases I to IV according to cultural changes. The I period, the cover is the stage in which Pottery with Round Clay Band Rim iand forms the Three Hans settlement of the Ulsan region. The pattern of coexistence and fusion with the existing residents' culture is confirmed by the continuous influx of immigrants to the Ulsan area. In period II, the cover is Triangular-shape Pottery with Clay Stripes, and the settlement surfaces such as residential forms and transfusions and tombs are similar to the I period, and small-scale settlements continue to be formed and settled. In period Ⅲ, the cover is early Soft Grayish Pottery and the scale of the settlements expands compared to the previous period, and changes are observed. As for the dwellings, the square-type dwellings of the previous peri- od will continue, and a new flat, circular-type dwelling equipped with a stove and ondol facilities were appear. In IV period, the cover is the late Soft Grayish Pottery, many cultural changes such as functional differentiation of the village, creation of large settlement, and creation of large tombs appear through the partially confirmed mate- rials, it is thought that the surrounding area was also affected by various cultural and economic exchanges.

목차

Ⅰ. 머리말
Ⅱ. 유적조사 현황 및 편년
Ⅲ. 취락의 기반시설 검토
Ⅳ. 취락의 특징 및 전개양상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나영. (2023).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의 전개양상. 영남고고학, (), 43-80

MLA

김나영. "울산지역 삼한시대 취락의 전개양상." 영남고고학, (2023): 43-8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