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유산의 진정성과 관광자원화
이용수 42
- 영문명
- Authenticity of Cultural Heritage and Its Development as Tourism Resources: With Reference to Donggung and Wolji in Gyeongju, Sou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관광학회
- 저자명
- 김규호
- 간행물 정보
- 『관광학연구』제36권 제5호, 115~13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6.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ourism plays a very important part in cultural consumption behavior. With the increase in cultural capital, tourism tendencies are turning to postmodern ones which pursues much individualized and differentiated experienc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tilize cultural heritage as tourism resources so as to respond to the market changes. In this respect, “Donggung,” a separate palace of the Silla era, which has been renovated on a large scale and maintained as one of the major tourism resources in Gyeongju can also offer various forms of cultural production materials from the cultural and economical viewpoints. Considering various forms of authenticity based on the tendencies and motivations of tourists seeking cultural heritage, an issue on authenticity of tourism resources by the reconstruction of “Donggung”, it can be manipulated by the concepts of existential authenticity and customized authenticity. Therefore, from the viewpoint of tourism, this study points out some major issues regarding the distortion or loss of authenticity of some cultural heritage due to commercialism. This study also suggests plans to construct some display rooms which can house the valuable relics excavated from “Wolji”, to construct some attractive tour courses, facilities and programs to pass on most interesting stories about major kings of the Silla kingdom through various media, and to construct tourist information centers to manage the tour 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문화유산의 진정성에 대한 논의
Ⅲ. 동궁과 월지의 관광자원화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문화유산의 진정성과 관광자원화
- 관광지 재생 연구방향 모색을 위한 관광지 재생 의미와 전략 선행연구 분석
- 플로우(Flow)이론을 적용한 테마파크 방문객 만족도 평가 연구
- 여행업 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직장-가정갈등의 모형에서 자기감정 조절능력의 역할
- 가상가치평가법을 이용한 농촌문화관광자원의 가치추정
- 지역관광수요에 대응한 관광자원정보서비스융합모형 연구
- 생태관광 자원해설의 효과
- 오토캠핑 마니아의 동기에 관한 연구
- 방한 외래관광객의 유산관광행동 어권별 비교분석
- 소셜 미디어 정보가치와 관광정보 탐색행동에 관한 연구
- 남성 중심의 여가범주에 대한 여성의 경계넘기
- 전통시장 사회문화적 기능의 가치
- Space Syntax를 이용한 도시호텔입지 분석
- 추구편익을 활용한 지역축제 방문객 시장세분화
- 래더링 기법을 이용한 국립공원 탐방객의 추구가치체계 분석
- [編輯人의 글] 관광학연구 통권 101호를 발간하면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 관광학연구 제49권 제2호 목차
- 선택실험법을 활용한 스마트관광도시 조성사업에 대한 가치평가 연구 - 스마트관광도시 핵심 4대 요소를 중심으로
- 지체 장애인의 관광위험지각이 태도,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도 잠재 여행자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