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이용수 0

영문명
Classic poems, inside Joseon Writings&Languag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for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이영태 박향란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84호, 201~22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05.31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에 수록된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을 논의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2004년부터 개편되기 시작한 신편 교과서 수록시가의 특징을 알기 위해 이전의 구편 교과서에 수록된 시가의 양상을 더불어 살폈다. 구편의 한국고전시가가 변함없이 신편에 편제됐는데 <청산별곡>과 <관동별곡>이 그것이다. 하지만 신편 교과서는 필수와 선택이 있는데, 보조 교과서에 해당하는 선택 교과서에는 향가, 시조, 조선가사가 있어 학생들이 다양한 장르의 고전시가를 경험할 수 있게 편제돼 있었다. 신편 교과서의 변화는 여기에만 한정된 게 아니었다. 이른바 ≪교수참고서≫의 <편집설명>은 여타의 교수지침서에 적용시킬 수 있을 정도로 정보화 시대에 맞는 지침이었다. 이를 중심으로 조선족과 남북한 교과서에 함께 수록된 <청산별곡>을 검토해 보았다. 특히 원문을 변개시켜 재해석한 경우가 있었는데, ‘에졍지’를 ‘예정지’로의 변화가 그것이다. 이는 북한 쪽의 성과를 받아들이되 자기식으로 재해석하기 위한 방편인 듯했다. 작품의 시대적 배경을 추측하는 것은 조선족과 남북한이 동일하되, 조선족 교과서가 화자에 대해 ‘현실에 불만을 품은 문인량반(문인, 선비)’이라는 북한 쪽을 따르고 있어 ≪교수참고서≫와 다소 모순되기도 했다. 이는 화자 및 해석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남한 쪽과 변별되는 점이기도 했다.

영문 초록

Examined in this paper,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 poems, that are included in the Joseon writing & language textbooks created for high schools attended by Korean-Chinese living in China. Textbooks from 2004 to 2004 are categorized and analyzed. 'Cheongsan Byeolgok(靑山別曲)' and 'Gwandong Byeolgok(關東別曲)' are presented in re-edited formats and also in its old form. Texts are presented in both necessary and optional terms, and for example, genres like Hyangga(鄕歌), Shijo(時調) and Gasa(歌詞) are presented in the latter type. Teacher´s manuals are designed in terms of the digital age. Thoroughly examined here is the 'Cheongsan Byeolgok(靑山別曲)'. It should be noted that 'Ejeongji(에졍지)' is recorded as 'Yejeongji(예정지)'. This intention of reinterpretation is not entirely embraced by the North Korean approach. As they blindly follow the opinions of the narrator, reality is denied in North Koreans' analysis.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acknowledges diversity of the narrators and try to interpret them accordingly.

목차

1. 머리말
2. 고중 신편 ≪조선어문≫ 교과서 소재 시가의 양상
3. 신편 ≪조선어문≫ 교과서 소재 고전시가의 특징과 문제점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영태,박향란. (2010).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새국어교육, (), 201-220

MLA

이영태,박향란. "중국 조선족 고중(高中) 신편(新編) 《조선어문》소재(所載) 고전시가의 양상과 특징." 새국어교육, (2010): 201-22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