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논술의 평가 방안
이용수 12
- 영문명
- A way of assessing essays writte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곽재용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6호, 5~2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논술은 논리적인 말하기나 글쓰기를 가리킨다. 쓰기와 말하기를 다 포함하나 구술이라는 용어가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글쓰기만을 말할 때도 있다고 할 수 있다. 초등 논술이란 ‘초등 학생이 제시된 글의 이해를 바탕으로 논리적인 사고로 내용을 생성하고 조직하고 표현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말하기나 글쓰기’이다.본 연구에서 초등 논술의 평가 기준을 내용 생성, 내용 조직 그리고 표현으로 나누었다. 논술의 내용 생성은 다시 주제의 선명성, 논증의 타당성, 내용의 통일성, 내용의 참신성 요소로 나누었다. 내용 조직으로는 문단 구성과 문단 연결의 적절성으로 나누었으며, 표현 영역에서는 맞춤법과 띄어쓰기, 문장의 적절성으로 세분하였다.이와 같은 평가 기준에 맞추어 학급에서 초등 학생의 논술문을 평가하고 그것을 수량화해서 기록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초등 논술의 개념
3. 국어과 교육 과정의 쓰기 내용 체계
4. 평가 기준의 마련
5. 논술문의 평가 기준과 평가 요소
6. 평가의 단계 설정
7. 평가의 실제
8.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획 특집] 오장환 동시집 바다는 누가 울은 눈물인가
-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형에 따른 분석 연구
-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Ⅰ): 음운
- 현대시 감상을 통한 논술 능력 향상
- 석촌 김영일의 동화 연구
- 고수레 설화 연구
- 초등 논술의 평가 방안
- 서술자의 혼성적 서술 방식 이해와 소설교육의 내용
- 「御製內訓」의 宮中語 硏究
- 국어 교과에 쓰이는 감상, 비판적 읽기, 비평 등의 용어에 대한 小考
- 국어사전에 실린 궁중어 연구
- 한국 현대시의 환상성
- 바람직한 논술 교육을 위한 방향성 탐구
- 오장환 동시의 세계
- 텍스트 각색과 낭독 공연을 통한 국어교육
- 새터민의 어휘 및 화용 표현 교육 방안
- 동화의 서술자와 문학교육
- 단시조와 평시조의 개념고
- 김지하 시에 나타난 고향의 해체와 복원 연구
- 蛟山의 정체성 考察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현황과 방향
- 한국어 교육과정의 표준화에서 고려되어야 할 몇 문제
- 의존명사의 인접형식과 통합성
- 작중 인물의 떠남을 활용한 여로형 소설 교육
- 대학 화법 교육의 목표 설정 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