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urvey of the State and Direction of Chinese Character 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이영희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76호, 269~29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는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한자 교재들을 분석하여, 교육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해외 대학에서는 비한자권 대학이 한자 교육 강좌를 많이 개설하고 있으며, 한자권 대학은 한자 독음, 한자어 의미 대조에 대한 강좌를 일부 개설하고 있다. 국내 대학 기관에서는 선택반으로 일부 개설하고 있다. 16종의 한자 교재 중에서 14종이 비한자권 학습자 대상이다. 대학 기관에서는 선택반 수업의 교수요목에 맞춘 교재도 개발되었다. 한국어 한자 교육의 방향을 교육 목표, 내용, 교과과정을 위주로 논하였다. 한자 학습은 개별 한자에서 한자어로 확장해 가는 상향식 학습 방식이 기본 방향이 되며, 비한자권 학습자를 위한 교육용 한자 목록이 필요한데 우선 한자 교재 간 중복도가 가장 높은 기초한자 96자를 제시하였다. 한자어 어휘 교육은 조어력 기반 한자어 학습과 한자어 구조를 이용한 학습이 유용하며, 이는 ‘한자 비노출 한자어 교육’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영문 초록
목차
1. 서론
2. 한국어 한자 교육 현황
3. 한국어 한자 교육의 방향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획 특집] 오장환 동시집 바다는 누가 울은 눈물인가
- 국어과 교육과정이 교과서에 반영되는 유형에 따른 분석 연구
- 국어 문법 교육 용어 계량 연구(Ⅰ): 음운
- 현대시 감상을 통한 논술 능력 향상
- 석촌 김영일의 동화 연구
- 고수레 설화 연구
- 초등 논술의 평가 방안
- 서술자의 혼성적 서술 방식 이해와 소설교육의 내용
- 「御製內訓」의 宮中語 硏究
- 국어 교과에 쓰이는 감상, 비판적 읽기, 비평 등의 용어에 대한 小考
- 국어사전에 실린 궁중어 연구
- 한국 현대시의 환상성
- 바람직한 논술 교육을 위한 방향성 탐구
- 오장환 동시의 세계
- 텍스트 각색과 낭독 공연을 통한 국어교육
- 새터민의 어휘 및 화용 표현 교육 방안
- 동화의 서술자와 문학교육
- 단시조와 평시조의 개념고
- 김지하 시에 나타난 고향의 해체와 복원 연구
- 蛟山의 정체성 考察
-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한자 교육의 현황과 방향
- 한국어 교육과정의 표준화에서 고려되어야 할 몇 문제
- 의존명사의 인접형식과 통합성
- 작중 인물의 떠남을 활용한 여로형 소설 교육
- 대학 화법 교육의 목표 설정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