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
이용수 10
- 영문명
- The Effectiveness of Eojeol in Grammatic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강계림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3호, 415~43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어절은 한국어의 교착어적 특징으로 말미암아 반드시 설정되어야 할 단위이나 형태 층위와 통사 층위의 경계에 놓여서 모호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어절의 개념을 단어와 교착소의 결합 단위인 협의의 어절, 문장에서 형태적 자립성을 가진 최소 단위인 광의의 어절로 구별하여 정의하였다. 협의의 어절은 형태 분석 층위의 문법 단위이고 광의의 어절은 통사 분석 층위의 문법 단위로서, 이 두 개념의 어절은 서로 층위를 달리한다.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은 광의의 어절 개념을 바탕으로 성립될 수 있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하여 문장 성분 분석이 서술어를 중심으로 한 계층적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 문장 성분은 하나 이상의 어절에 부여된다는 점 등을 주요 조건으로 삼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prove an effectiveness of Eojeol in a grammatical education field by clarifying its position as a grammatical unit. Till now, Eojeol has been vaguely defined from various standards in Korean. Therefore, we divided Eojeol’s concept into a narrow one and a broad one. The former indicates a combination of a word and agglutinative elements such as Josa or Eomi. This narrow concept of Eojeol exists in a morphological layer.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one, which exists in a syntactical layer, means a minimum component with formal independence of a sentence. This broad concept guarantees the effectiveness of Eojeol in grammatical education by making it possible to analyze sentence constitutions. Along with this redefinition, we suggested a few necessary conditions related to analyzing sentence constitutions. First, sentence constitutions ought to be analyzed in hierarchy according to predicators. Next, sentence constitutions are assigned to one or more Eojeol.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어절에 대한 학계의 논쟁
3. 어절의 재정의
4. 문법 단위로서의 어절
5. 문장 성분 분석과 어절
6.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 면담 피드백이 중국인 학습자의쓰기 형태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코칭 사례 분석
-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
-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융합교육의 지향과 시가의 생성적 향유
-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어디’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행 평가의 채점자 신뢰도 검증
-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한국어 듣기 교재제시대화문의 비교 연구
- 초등학생 독자의 읽기 흥미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