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어디’에 대한 연구
이용수 17
- 영문명
- A Study on Discourse Marker ‘eodi’ for Chinese Learners of Korean: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agmatic Functions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유나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3호, 283~30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어 의문사 ‘어디’는 문법화의 과정을 거쳐 의문 기능을 제외한 여러 화용 기능을 가지게 되면서 담화표지로 변신한다. ‘어디’는 담화표지로서의 용법이 매우 다양할 뿐만 아니라 중국어와 대응 관계도 복잡하여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매우 어려운 학습 내용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화용 교육을 위한 입장에서 기존 연구에 의해 밝혀진 ‘어디’의 화용 기능을 재검토하여 체계화시켜 중국어 해당 표현과의 대조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는 ‘어디’가 맥락에서 나타내는 특수한 담화 효과에 대한 중국인 학습자의 이해를 확보시키기 위해서이다. 이어서 현행 한국어교재에서 ‘어디’의 제시 양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문제점을 짚어보았다. 또한 학습자의 화용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디’의 제반 화용 기능을 교재에 적극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한국어교육에의 적용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영문 초록
Korean interrogative ‘eodi’ has developed rich meanings and conversational functions during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It presents Chinese learners with many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and using ‘eodi’ properly. In this study the preceding studies on the functions of ‘eodi’ were examined and a new classification system was established. To help learners to get an overall comprehension about the usage of discourse marker ‘eodi’, various pragmatic functions of ‘eodi’ were analysed from the comparative viewpoint with Chinese. Then, some problems with descriptions of ‘eodi’ in Korean textbooks were also discussed. Lastly,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some appropriate methods of sequential presentation in Korean textbooks and education for Chinese learner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of CA(comparative analysis).
목차
1. 머리말
2. 담화표지 ‘어디’의 발달 및 분석 틀
3. 화용 기능의 한·중 대조 분석
4. 한국어 교육에의 적용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 면담 피드백이 중국인 학습자의쓰기 형태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코칭 사례 분석
-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
-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융합교육의 지향과 시가의 생성적 향유
-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어디’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행 평가의 채점자 신뢰도 검증
-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한국어 듣기 교재제시대화문의 비교 연구
- 초등학생 독자의 읽기 흥미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