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이용수 22

영문명
A Study on ‘V₁어 V₂’ as a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 Through Comparison with Chinese Verb-Result Construction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심지영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03호, 355~390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V₁어 V₂’ 구성을 한국어 결과구문의 하나로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그 이유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V₁어 V₂’ 구성은 의미 기능상으로 다른 결과구문에 비하여 손색없는 결과의미 표시 역량을 보여준다. 둘째, ‘V₁어 V₂’ 구성은 결과를 표시하는 요소의 문법범주에 따라 여타 한국어의 결과구문들과 상보적인 분포를 보이며 전체 한국어 결과구문 체계를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V₁어 V₂’ 구성은 하나의 문장 안에 원인행위와 그 결과라는 두 가지의 사건이 하나의 사건으로 통합되어 나타난다는 점에서 구문적 성격을 가진다. 한편, 이와 같은 주장의 과정에서 중국어의 대표적인 결과구문인 動結式과 한국어 ‘V₁어 V₂’를 비교하는 방식을 취함으로써 결과구문에 대한 언어 보편적 관점에서의 이해를 시도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sserts that ‘V₁어 V₂’ construction in Korean language should be accepted as one of Korean resultative constructions. The reasons why we argue this are next two. First of all, ‘V₁어 V₂’ is capable enough to represent the meaning of ‘result’ compared to other resultative constructions of Korean. We are going to check how ‘V₁어 V₂’ carry out this function which dives to representation of change of state, change of location and change of perception. Second, ‘V₁어 V₂’ seems to have the character of construction and could be accepted as a construction in the point of this foam tend to combines two distinct events, specific activity and it’s result, into one integrated event and represents it in a simple sentence. And in the process of these accounts, we take the way of comparing ‘VV’ verb compounds in Mandarin Chinese which is widely recognized as resultative construction and ‘V₁어 V₂’ in Korean, as an attempt for language universal of resultative construction.

목차

1. 들어가기
2. 결과구문 개관
3. ‘V₁어 V₂’의 결과표시 특성
4. ‘V₁어 V₂’의 구문적 성격
5. 나가기-요약과 남은 문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지영. (2015).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새국어교육, (), 355-390

MLA

심지영.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새국어교육, (2015): 355-3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