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이용수 5
- 영문명
- The Study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Creative Writing of One’s Own Experience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전한성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3호, 169~1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들이 자기 경험을 관심이라 부를 만한 것을 중심으로 연결지어보고 해석하는 쓰기 활동을 통해 자아성찰을 도모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먼저 자기 경험을 언어행위를 통해 표현하고 이해하는 일이 왜 중요한지 이론적으로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해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한 3단계 창작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1단계는 자유연상을 통한 대화나누기이다. 2단계는 관심 형성을 위한 자기 경험 창작하기이다. 3단계는 창작 경험의 모든 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3단계 창작 교수-학습 모형이 실제 창작 활동이 이루어지는 교실 상황에서 효과적으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세 가지 적용 원리를 제시하였다. 첫째, 차시 수업의 구분에 따른 적용 원리이다. 둘째, 교수-학습 모형과 기법을 통합한 적용 원리이다. 셋째, 교수-학습 모형의 변형을 통한 적용 원리이다. 향후 이 모형이 원활하게 실행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방법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introspecting oneself through writing activity which connects and interprets their own experience based on interests. First, this study looked into a theoretical background for examining why it is important to express and understand one’s own experience through writing. Second, three-level creative writing teaching-learning model was suggested using an autobiographical method for creative writing of one’s own experience. Step 1 is making conversation by free association. Step 2 is creative writing of one’s own experience for forming interest. Step 3 is comprehensively analyzing all the courses of creative writing experience. Finally, this study provided three principles for implementing the model effectively in a classroom situation. They were about the distinction of lessons, the combin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and methods, and the modification of the teaching-learning model. For future researches, specific and concrete ways of implementing this model should be drawn up.
목차
1. 자기 경험 창작의 필요성
2.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한 창작 교수-학습 모형
3. 자기 경험 창작 교수-학습 모형의 적용 원리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 면담 피드백이 중국인 학습자의쓰기 형태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코칭 사례 분석
-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
-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융합교육의 지향과 시가의 생성적 향유
-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어디’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행 평가의 채점자 신뢰도 검증
-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한국어 듣기 교재제시대화문의 비교 연구
- 초등학생 독자의 읽기 흥미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