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이용수 24

영문명
Three Types of Error in the Use of Postpositions by a Korean Learner of English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한명숙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03호, 255~281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6.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어는 후치언어(postpositional language)로서 어미나 조사의 기능이 중요한 언어다. 특히 격조사, 보조사, 접속조사로 나뉘는 조사는 그 종류와 기능이 다양하여 한국어교육의 일선에 있는 교원들에게조차 어렵게 다루어진다. 7가지 종류 38개 형태의 격조사, 23개 형태의 보조사 및 17개 형태로 나타나는 접속조사의 종류와 그 기능 등은 한국어교원에게 필요한 교수내용지식(PCK)이고, 한국어 학습자에게는 배우기 어려운 학습내용이 된다. 이 조사 사용의 어려움을 중급의 한국어 실력을 가진 영어 화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어 학습 과정에서 생성한 문장에 나타난 조사 사용의 오류를 분석하여 확인한 결과 178개의 한국어 문장에 사용된 374개의 조사 가운데 17.6%에 해당하는 66개의 조사 사용 오류가 분석되었다. 구체적인 오류의 양상은 대치 오류가 약 53.2%, 누락 오류가 약 33.9%, 과잉 오류가 약 12.9%로 나타났다. 한국어교육은 한국어의 말맛을 살리는 조사에 대한 교육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조사 관련 교육내용을 중요하게 다루고, 영어 화자 및 다른 전치언어(propositional language) 습득자 대상의 한국어교육에서 조사에 관한 학습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도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 found three error type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in 178 Korean sentences made by a Korean learner, Mitch Goshorn, who is an American senior student. During six months in 2011-2012, he was taught Korean language by me in 33 lessons, and he could translate many Korean sentences to English sentences in the picture book, I hate English. In his sentences, 374 distinct postpositions were used. However, 62 errors in the use of postpositions were made by him. According to my analysis, the error types are classified into the three as follows:Omission, Substitution, and Addition. 35 errors were made for omission, 23 errors for substitution, and 8 errors for addition. These three error types imply that Korean learners hav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how to use postpositions in learning Korean language. Therefore, I propose that Korean education as a second language(KSL) should be provided considering postpositions so that Korean learners can express postpositions freely. This study may contribute to making a curriculum, selecting pedagogical contents, and developing teaching methods and material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s a postpositional language.

목차

1. 다문화사회의 한국어교육을 위하여
2. 후치언어로서 한국어의 조사
3. 한국어 조사 사용의 오류 사례 분석
4. 결론 및 한국어교육의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명숙. (2015).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새국어교육, (), 255-281

MLA

한명숙.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새국어교육, (2015): 255-28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