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이용수 37
- 영문명
- On Study Method of Appropriation in Novel Read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정래필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3호, 113~13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은 해석학 이론에서 독서의 목표로 규정하는 ‘전유’가 교과서 활동에 적용되는 양상을 살펴보고, 소설 해석의 성격을 고려하여 학습자에게 필요한 ‘전유’의 내용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고등학교에 배포된 12종 고등학교 『문학』 교과서의 소설 제재 중 가장 많이 수록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에 나타난 ‘전유’ 관련 활동을 분석했다. 전유는 ‘대화를 통해 독자의 존재 의식을 규명한다.’, ‘독자의 사고를 바탕으로 텍스트의 의미를 재구성한다.’,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사회적 내면화를 완성한다.’, ‘사회 구조와 현대 문화 현상을 비판적으로 인식한다.’ 등으로 사용되는 개념이다. 이 글은 교과서 활동을 전유의 구조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으로 나누어 검토했다. 이 과정에서 전유 활동의 문제점을 규명하고, 전유 실천 방법을 ‘현재적 관점 제시’, ‘내적 대화의 강조’, ‘비판적 사유의 제공’ 등으로 구체화했다.
영문 초록
This writing examined aspects that ‘appropriation’ is applied to textbook activity - appropriation is regulated as goal of reading. And the writing suggested content of ‘appropriation’ necessary for learners. To this end, the author analyzed activity related to ‘appropriation’ shown on listed most among 12 kinds of ≪literature≫ textbooks distributed to high schools after 2012. Appropriation is a concept used as these-‘through dialogic relationship, to figure out reader’s existence consciousness.’, ‘based on reader’s thinking, to re-construct meaning of text.’, ‘through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to complete social internalization.’, ‘to recognize problem of social structure in critical way and understand modern cultural phenomena in critical way.’ etc. The writing reviewed structural aspect and aspect in content of appropriation shown on textbook activity. In the process, the author figured out problem of appropriation activity and embodied implementation method of appropriation as ‘the view of present time’, ‘emphasis on internal dialogism in process centered’, ‘pursuit of critical recognition about community society’ etc.
목차
1. ‘전유’의 문학교육적 의미
2. ‘전유’의 개념 범주
3. ‘전유’의 학습 활동 구현 양상
4. 전유의 실천 방향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 면담 피드백이 중국인 학습자의쓰기 형태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코칭 사례 분석
-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
-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융합교육의 지향과 시가의 생성적 향유
-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어디’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행 평가의 채점자 신뢰도 검증
-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한국어 듣기 교재제시대화문의 비교 연구
- 초등학생 독자의 읽기 흥미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