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어 준구어와 한국어 듣기 교재제시대화문의 비교 연구
이용수 19
-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Quasi oral and Dialogue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Focuses on the Bound Noun
- 발행기관
- 한국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노성화
- 간행물 정보
- 『새국어교육』103호, 391~41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존의 연구 결과를 보면 중국 국내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들은 의존명사의 사용에서 한국어 준구어와 큰 차이를 보이는데 연구자는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통계학에서의 모수 추정과 가설 검정법을 사용하여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에서 출현한 의존명사에 대해 범주별 사용과 어절구조 사용 측면에서 비교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연구자는 이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한국어 듣기 교재에 대해 두 가지 개선 방안을 제의하였다. 첫째, 보편성, 부사성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낮추고 주어성, 단위성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높여야 한다. 그리고 고유어 계통의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높이고 한자어 계통의 의존명사의 사용률은 낮추어야 한다. 둘째, 의존명사에 긍정지정사, 주격조사, 보격조사, 호격조사가 붙는 어절구조들은 그 사용률을 높이고 의존명사에 보조사, 부사격조사, 명사파생접미사가 붙는 어절구조들은 그 사용률을 낮추어야 한다.
영문 초록
Existing studies show that in the use of bound nouns, there is a large difference between Korean listening textbooks and Korean quasi oral. In order to find the reasons, we used the hypothesis testing method of statistical estimation to compare bound nouns in Korean listening textbooks and Korean quasi oral. Then according to the results, we put forward two sugges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listening textbooks in the future. First, reduce the use of universal bound nouns and the adverb bound nouns, increase the use of subject bound nouns and the unit bound nouns, then we should also improve the usage of inherent bound nouns and reduce the usage of the Chinese character bound nouns. Second, increase the use of structures with the affirmative indications, nominatives, auxiliary words and vocative particles, increase the use of structures with the auxiliary inclusions, adverb case particles and noun suffixes.
목차
1. 서론
2. 연구 과제와 재료 및 연구방법
3. 한국어 준구어와 듣기 교재 내 제시대화문의 비교
4.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결과구문으로서의 ‘V₁어 V₂’ 특성 고찰
- 면담 피드백이 중국인 학습자의쓰기 형태 정확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 수업 전문성 신장을 위한 수업 코칭 사례 분석
- 문법 교육에서 ‘어절’의 효용성
- 교양으로서 국어교육의 현황과 전망
- 융합교육의 지향과 시가의 생성적 향유
- 영어 화자가 생성한 한국어 문장의 조사 오류 사례와 한국어교육의 과제
-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담화표지 ‘어디’에 대한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수행 평가의 채점자 신뢰도 검증
- 소설 읽기 교육의 ‘전유’ 방법 연구
- 문법 교육에서의 인성 교육 내용 구성 가능성 탐색
- 자기 경험 창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 연구
- 한국어 준구어와 한국어 듣기 교재제시대화문의 비교 연구
- 초등학생 독자의 읽기 흥미 요인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언어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언어학분야 NEW
- 예이츠와 여성: 남성적 나르시시즘의 모순
- Learning the Ideal Strategy of Unification from Two Irish Poets, W.B. Yeats & Seamus Heaney
- [Book Review] Deirdre Toomey, Yeats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