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도시 공간의 전용과 개입을 통한 예술적 실천

이용수 128

영문명
Artistic Practice Through Diversion and Intervention of Urban Space: Focused on the Art Squat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박미성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제25집 4권, 11~3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0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새로운 예술의 장으로서의 도시 공간과 그 실천적 형태인 예술 스쾃에 관한 것이다. 도시 공간, 특히 근대적 의미의 대도시 등장과 발전의 변화 안에서 도시는 더 이상 생태학적인 불가피성에 의해 만들어지고 중립적 형태로 읽히지 않는다. 도시는 사회적인 소산물이자, 경제적, 정치적, 사회적인 이데올로기와 헤게모니의 영향 아래에 있다. 이는 결국 공간에 대한 불평등을 일으키고 공간 속에서 차별과 박탈과 소외를 일으켰다. 이러한 도시 공간에 대한 인간적 소외에 대해 1960년대 말 예술가들은 좀 더 직접적인 방법으로 발언과 대안적 형태의 다양한 예술 활동을 보여왔다. 예술의 비물질화를 통해 체제와 제도 안에서 보여지는 예술의 의도적 거부와 저항의 여러 실천 중에서 본 연구는 예술 스쾃을 집중하고 있다. 스쾃은 도시의 발생과 그 안에서 발생하는 불평등적 소유의 개념에 직접적으로 도전해 결과적으로 공간의 전복과 공간의 재맥락화를 일상의 도시 공간 안에서, 일상과 예술의 합일되고 치환될 수 있음을 보여준 예술 실행의 방식이다. 게다가 스쾃은 도시 안에서 공간의 점유와 검거라는 방법론적 측면에서 예술의 소유화와 물질화에 적극적으로 대항하면서, 공공의 공간에 공공을 위한 예술을 추구했던 공공미술의 성격을 강하게 띠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공적인 공간에 놓이는 예술이라는 원론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공공미술의 역사는 인간, 사회, 공간의 역사와 함께 시작되었다. 그러나 공공의 정의와 특정 공공의 장소(공간)에서 공간의 다양한 정체성을 드러낼 수밖에 없다는 측면에서 공공미술의 어떻게 규정할 것인지가 변화해 왔다. 특히 수잔 레이시(Suzanne Lacy)가 1980년대 말에 재정의 한 ‘새로운 장르로서의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은 현재까지의 예술 스쾃의 의미를 전복과 불법이라는 기존의 관점에서 좀 더 확장된 논의가 가능한 지점이다. 본 논의는 이 지점에서 시작하여 일상적이고 다양한 관객들과 삶에 직접적으로 관련한 문제들에 재정립해 볼 수 있는 상호 소통적인 ‘새로운 장르로서의 공공미술’의 형태로서의 예술 스쾃과 방향성을 짚어보았다는데, 그 연구의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 공간에 대한 변용의 가능성과 방향을 보여준 이론적 방향에 대한 논의를 우선으로 살펴보고, 도시의 전용 가능성을 도시 공간 안에서 예술적 개입으로 실천했던 스쾃 활동들을 공공미술의 틀에 집중하고 있다. 특히 스쾃의 근원적 발생과 다양한 실험적 방법들과 변화의 흐름 속에서 스쾃의 의의와 긍정적, 부정적 결과를 고스란히 보여준, 프랑스 예술 스쾃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스쾃은 공간의 사적 소유권을 그릇된 공간 의식으로 부정하고 공간에 대한 소유의 개념 대신 ‘사용’의 개념을 주장하면서 토지, 건물, 빈터, 주거지. 창작실 등에서 벌이는 점거행위를 일컫는다. 스쾃은 행위 주체들의 필요, 가치, 욕구, 관심에 따라 주거를 위한 스쾃, 자율성을 높이는 비관습적인 행동 양식으로서의 스쾃, 도시 공간운동으로서의 스쾃, 정치투쟁의 장으로서 스쾃 등 다양한 형태들을 보여준다. 서구에서 스쾃이 사회적으로 저항적, 비제도적 정치/문화 행동으로 수용되기 시작한 것은 1960년대 이후이다. 1960년대는 사회적 관계들의 상품화와 관료화가 광범위하고 치밀하게 이루어지면서 사회적으로 갈등이 일어날 수 있는 영역들이 늘어난 시기였다. 또한 2차 세계대전 이후 매우 포괄적인 합의에 따라 수립된 자유민주주의적 복지국가에서 성장과 안정의 패러다임이 고수되는 가운데 사회적, 정치적 갈등에 대해서는 정당과 이익단체가 주도하는 제도 내 해결방식만 채택되면서 이견을 지닌 개인들이 새로운 대항적 주체들로 출현하던 시기였고, 미디어가 확장되면서 표현 수단이 다채로워지자 다양한 문화 형태들이 가능해진 시기이기도 하다. 포괄적인 용어로 ‘대안 운동’이라 불리는 새로운 사회 운동들은 이 시기에 국가와 시장을 제도화한 원리나 실천들과 갈등을 일으키는 실제적인 주제들을 이슈화하면서 새로운 권리 유형들을 출현시켰고, 지배적 상식들을 심대하게 변화시켰다. 스쾃은 버려진 공간을 점유하여 실제의 삶과 예술이 공존하는 장소로의 실천을 이룬다. 현재의 예술 스쾃은 초창기의 전복적인 실험과 형태에서 벗어나서 각 사회와의 연대와 협력과 소통적 형태로 공공 안에서 새로운 형태로서의 공공미술로서 실천을 이루고 있다. 물론 스쾃이 태생적으로 가진 불법적인 요소로 인해 여전히 그것을 불편한 시선 너머로 바라보는 대중들도 존재하지만, 좀 더 본질적으로 예술 스쾃은 대중과의 소통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변화하면서, 대안적 형태의 예술, 새로운 장르로서의 공공미술로 그 가치를 이끌어 나가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bout urban space as a new art venue and its practical form of art squats. In urban space, especially in the emergence and development of large cities in the modern sense, cities are no longer created by ecological inevitability and read in a neutral form. The city is a social product and is under the influence of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ideology and hegemony. This eventually caused inequality in space, and discrimination, deprivation, and alienation in space. In the late 1960s, artists showed remarks and various alternative forms of art activities in a more direct way about this human alienation of urban space. Among the various practices of art's intentional rejection and resistance shown in the system and system through the de-materialization of art, this study focuses on art squats. Squat is an art practice that directly challenges the concept of urban occurrence and unequal ownership that arises in it and shows that the subversion of space and the recontextualization of space can be unified and replaced in everyday urban space. In addition, squats can be seen as a strong character of public art, which actively opposed the ownership and materialization of art in terms of the methodology of occupying and arresting space in a city, and pursued art for the public in public space. In terms of the principle of art placed in a public space, the history of public art began with the history of humans, society, and space. However, how to define public art has changed in terms of public definition and having no choice but to reveal various identities of space in a specific public place (space). In particular, “new genre public art as a new genre,” which was redefined by Suzanne Lacy in the late 1980s, is a point where the meaning of art squats can be expanded from the existing perspective of subversion and illegality. Starting from this point, this discussion focuses on art squats and directions as a form of interactive “public art as a new genre” that can be re-established in daily life and issues directly related to various audiences, which is significant for the study. This study first examines the theoretical direction that showed the possibility and direction of urban space, and focuses on the framework of public art on squat activities that practiced the possibility of urban appropriation through artistic intervention in urban space. In particular, it is centered on French art squats, which showed the significance, positive and negative results of squats in the fundamental occurrence of squats, various experimental methods, and the flow of change. Squat denies private ownership of space as a false sense of space and argues for the concept of 'use' instead of the concept of ownership of space, land, buildings, vacant lots, and dwellings. It refers to occupation in creative rooms, etc. Squats show various forms such as squats for housing according to the needs, values, needs, and interests of actors, squats as non-traditional forms of behavior that increase autonomy, squats as urban space movements, and squats as political struggles. It was only after the 1960s that squats began to be accepted as socially resistant and non-institutional political/cultural behavior in the West. The 1960s was a time when the commercialization and bureaucracy of social relations were extensive and meticulous, and the areas where social conflicts could arise increased. In addition, as the paradigm of growth and stability was adhered to in a liberal welfare state established under a very comprehensive agreement after World War II, individuals with differences emerged as new antagonists as political parties and interest groups were adopted, and as media expanded, various cultural forms became possible.

목차

Ⅰ. 서 론
Ⅱ. 도시 공간 속의 예술적 전용
Ⅲ. 도시 공간의 공공 예술적 실천으로서의 스쾃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미성. (2022).도시 공간의 전용과 개입을 통한 예술적 실천. 조형디자인연구, 25 (4), 11-34

MLA

박미성. "도시 공간의 전용과 개입을 통한 예술적 실천." 조형디자인연구, 25.4(2022): 11-3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