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음운론적 대립 유형과 음성학적 유형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 인식 양상 연구

이용수 26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Korean Plosives by Phonological and Phonetic Type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권성미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18호, 223~255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학습자의 L1의 음운론적 대립 유형과 음성학적인 VOT 유형이 한국어 3중 대립 파열음 체계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음운론적인 유형과 VOT 유형면에서 상이성을 보이는 러시아어, 스웨덴어, 영어, 중국어, 터키어, 프랑스어가 L1인 초급 학습자 61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파열음에 대한 인식 실험을 실시하여, 인식 정확도와 오지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과:첫째, 음운론적 대립 유형에 따른 집단들은 평경격음의 인식 정확도에 있어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오지각 양상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VOT 유형별로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었다. short-long 집단은 lead-short, lead-long 집단과 인식 정확도와 오지각 양상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였다. lead-short, lead-long 집단은 경음과 평음 인식 난이도가 높으며, short-long 집단은 평음 인식 난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L2로서 한국어 파열음 인식은 음운론적 대립 유형보다는 VOT 유형에 따라 유형화된 양상을 보이며, VOT 유형에 기반한 언어 간 대비가 파열음 습득 양상에 대한 설명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onological types and VOT types of learners’ L1 on the perception of Korean three-way plosives. Methods:61 beginning Korean learners who have Russian, Swedish, English, Chinese, Turkish, and French L1 background that are different in terms of phonological types and VOT types were observed. Accuracy of identification and confusion patterns were compared. Results: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uracy in perception between the two phonological groups, but they did not display different patterns in a confusion matrix. Second, there wer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VOT types. Lead-short and lead-long groups showed different patterns from the short-long group both in accuracy and in confusion patterns. Lead-short and lead-long groups had difficulty in perceiving tense and lenis, and the short-long group had difficulty in perceiving lenis compared to tense and aspirated. Results:There seemed to be more explanatory power with VOT types in interpreting perceiving patterns of Korean plosives compared to that of phonological types.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 방법
4. 조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권성미. (2019).음운론적 대립 유형과 음성학적 유형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 인식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 223-255

MLA

권성미. "음운론적 대립 유형과 음성학적 유형에 따른 한국어 파열음 인식 양상 연구." 새국어교육, (2019): 223-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