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분석 연구

이용수 54

영문명
An Analysis of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진영하 탕이잉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4호, 213~255쪽, 전체 4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7,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본 연구는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를 듣기 자료와 듣기 활동의 측면에서 전반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인 학습자용 듣기 교재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방법:출판 연도, 체계성, 독자성, 신뢰성을 준거로 2종의 듣기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한다. 듣기 교재 개발 원리에 근거하여 구체적인 분석 기준 및 항목을 설정한 후, 듣기 자료에 대해 주제, 담화 유형, 담화 참여자, 구어적 특성, 환경적 요소, 시각적 자료, 문화적 요소 등 일곱 영역에서, 듣기 활동은 듣기 전 활동, 듣기 활동, 통합 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한다. 결과:듣기 자료에 관한 영역에서 대부분은 그 분포가 고르지 못하며 다양성이 결여된다. 또한 듣기 자료에 구어 담화의 모습은 잘 드러나지 않으며 중국인 학습자의 학습목적 및 문화적 배경에 대한 고려도 부족하다. 듣기 활동에 관하여, 듣기 전 단계에서 언어 형식에 대한 제시, 듣기 단계에서는 정확성이나 기억력이 요구되는 활동이 주를 이루며, 통합 활동에서는 이해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적지 않은 비중을 차지한다. 결론: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실제성을 지니고 학습자 변인을 반영하며 흥미를 유발하는 듣기 자료와 스키마를 활성화하여 실생활 듣기 수행을 도와주는 듣기 활동을 구성하는 데 몇 가지 시사점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Korean listening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and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listening textbooks for Chinese learners. Methods:Prior to analysis, this study selected analysis object according to publication date, systemativeness, originality and reliability. After setting specific standards of analysis based on the principles of the development of Korean listening textbooks, it analyzed listening materials in seven areas(topics, discourse types, discourse paticipants, features of spoken language, evironmental elements, visual materials and cultural elements) and listening activities in three steps(pre-listening activities, listening activities, skill integrated activities). Results:In most areas of listening materials, the distribution was unbalanced and it lacked diversity. In addition, the listening materials didn’t show the appearance of spoken discourse well, and there was a lack of consideration for the purpose and cultural background of chinese learners. As for listening activities, the presentation of linguistic forms at the pre-listening stage, and activities that require accuracy or memory were the main activity type, and in the skill integrated activities, activities that checke understanding accounted for a considerable proportion. Conclusion:Based on the results of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development of listening materials that are authentic, reflect learners’ factors and arouse interest, and, listening activites that activate schema and help learners’ performance of listening in real life.

목차

1. 서론
2. 선행연구
3. 교재 분석
4. 교재 개발에 대한 시사점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영하,탕이잉. (2020).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분석 연구. 새국어교육, (), 213-255

MLA

진영하,탕이잉. "중국의 한국어 듣기 교재 분석 연구." 새국어교육, (2020): 213-25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