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2015 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이용수 6

영문명
Analysis of Teachers’ Awareness of Drama Units in 2015 Revised Korean Language Textbooks
발행기관
한국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유지훈 이향근
간행물 정보
『새국어교육』124호, 7~35쪽, 전체 2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언어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6,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국어과 교과서에 신설된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과 지도 실태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인천시 초등학교 5-6학년 교사를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고, 초첨 집단 인터뷰와 전문가 인터뷰를 진행하여 논의 주제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결과:교사들은 연극은 ‘무대체질’인 교사들에게 적합하며 연극 지도는 ‘부담스러운 활동’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초등연극교육의 놀이성이나 비구조적 접근방식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지 못한 결과로 보인다. 반면 연극 활동이 학생들에게 ‘표현’, ‘공연’, ‘의사소통’, ‘생각이나 감정의 추체험’ ‘즐거움’을 경험하도록 유도한다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하고 있었다. 연극 단원은 주로 담임교사가 실행하였으나 그중 64%는 연극 단원을 생략하거나 축소하고, 재구성하여 진행하였다. ‘외부예술강사연계 수업’을 진행한 경우도 대상 교사의 36%에 달했다. 결론:교사들은 연극 단원의 교육적 가치를 인정하나 직접 수행하는 데에는 부담감과 어려움을 느끼고 있으며 외부예술강사와의 협업에 익숙하지 못한 상황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영문 초록

Purpose: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eachers’ perceptions and instructional status of theater units newly established in the 2015 revision of Korean language textbooks. Methods:A survey was conducted focusing on teachers in the 5th and 6th graders in Incheon Elementary School, and attempted to explore the topics of discussion in depth by conducting focus group interview and expert interviews. Results:Teachers perceived the play as suitable for teachers who were “stage constituencies,” and theatrical instruction was “a burdensome activity.”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the lack of consensus on the play ability and non-structural approach of elementary theater educa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recognized for its value in that theatrical activities induce students to experience ‘expression’, ‘performance’, ‘communication’, ‘experience of thought or emotion’ and ‘enjoyment’ The theater members were mainly performed by their homeroom teachers, but 64% of them were “omitted or reduced” and reorganized the theater members. In the case of ‘External Arts Instructor-Linked Class’, 36% of the target teachers. Conclusion: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performance of the drama uni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eachers to rediscover the purposes of drama unit and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performance, and to improve the situation in which they are not familiar with collaboration with invited professional art instructors.

목차

1. 서론
2. 2015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의 접근 방식
3. 연구 방법
4. 연구 결과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유지훈,이향근. (2020).2015 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새국어교육, (), 7-35

MLA

유지훈,이향근. "2015 개정 국어과 연극 단원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새국어교육, (2020): 7-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