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료행위의 규율목적과 전문직업성과의 조화를 위한 해석과제
이용수 106
- 영문명
- Interpretation and legal challenges for harmonisation between the regulatory purpose of medical practice and professionalism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의생명과학법센터)
- 저자명
- 김봉철 김기영
- 간행물 정보
- 『의생명과학과 법』제28권, 89~12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법학 > 민법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의료법의 개념에서 도출되는 의료행위에 대한 국가의 규제를 검토한 다음, 이에 따라 의료행위에 대한 과잉규제와 소위 ‘보건위생상의 위험’이라는 개념으로 규율하고 있는 역사적 연원과 의료행위의 요건에 대해 고찰하고, 의사의 전문직업성의 관점에서 의료행위 본래의 본질에 대한 재검토를 하고자 하고 있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의료행위의 요건인 의학적 적응성과 치료목적 등을 고려한 요건과는 달리 의료행정상의 목적으로 ‘일반 공중위생상의 위험’을 개념을 사용하여 실질적으로 의료행위개념에 대한 확대경향에 대해 비판적 고찰을 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특히 문신행위에 대한 의료행위성을 인정하고 있는 통설과 판례에 대한 비판적 입장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의료행위의 중요한 요소로서 의학적 적응성과 치료목적에 대한 환자의 자기결정권에서 한계를 설정할 수 있는 진료권의 범위와 한계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국민건강보험법상의 요양급여 부당이득징수처분에 대해 의사의 실질적인 진료행위에 대해 의료행위의 본질적 요소가 갖추어져 있고 진료를 하였다는 점이 인정된다면 국민건강보험법상 요양기관이 부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최근 사례와 민사책임영역에서 의료행위의 본질적인 요소인 요양지도의무나 판례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도설명의무의 강화도 이러한 관점에서 해석하고 의사의 재량권과 진료권이 어느 정도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의료에 대해 필요한 법적 통제가 의사와 환자 사이의 관계를 완전히 법적 규범화로 확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환자와 의사의 구성요소로서의 신뢰관계를 회복할 수 있도록 본연의 의료행위의 개념과 전문직업성과 조화를 꾀하도록 해야 한다고 결론을 맺고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t is reviewed the historical origins and requirements of medical practices governed by the concept of over-regulation and so-called ‘health and sanitation risks’, after examining the national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medical law, Based on these discussions, it is trying to make a critical examination of the trend toward expansion of the medical practice concept, unlike the medical indication and treatment purpose, which are the requirements for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octor's professionalism, the concept of ‘general public health risk’ is used for the purpose of medical administration to provide practical medical care. In this regard, it presents a critical stance against precedents that recognize the medical act of tattooing.
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collection of unjust enrichment from medical care benefits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we are looking into recent cases that a medical institution may not be denied under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f it is recognized that the essential elements of medical practice are in place and that the doctor has provided actual medical treatment.
In particular. this study reviews the extent to which the doctor's discretionary power and right to treat have an impact in the area of tattooing and collection of unfair profits under the Health Insurance Act and civil liability, divided into individual areas. In the field of civil liability, it is also interpreted from this point of view as the strengthening of the duty of care guidance,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of medical practice, or the duty of guidance and explanation suggested by precedents. And it reviewed the degree to which the discretionary power and treatment right of doctors affect.
Finally, it is not desirable for the necessary legal control over medical care to completely exp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octors and patients into legal norms. It i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seek harmony with professionalism.
목차
Ⅰ. 서 론
Ⅱ. 의료행위에 대한 국가의 규제와 의사의 재량권
Ⅲ. 의사의 전문직업성의 관점에서의 법적 검토
Ⅳ.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he Utilization and Limitation of Genetic Information in Insurance: Improvement Plan of China’s“Genetic Non-discrimination Act”
- 뇌사 판정 논의와 장기이식법의 개선방안 연구
- Research on Presumption of Fault in Medical Litigation in China
- 중국 의료빅데이터의 프라이버시 정보 보호에 관한 고찰
- 배양육의 법률적 수용성의 한계와 과제에 관한 소고
- 결과중심 유기인증제도의 개선방안 연구
- 의료계약
- 병원의 조직과실
- 동정적 사용 프로그램과 유럽인권협약
- 대체식품 표시광고 규제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
- 바이오헬스 산업에서 특허 라이선스 특성에 관한 연구
- 감염병 대응을 위한 개인정보제공과 관련된 형사법적 쟁점에 관한 고찰
- 의료행위의 규율목적과 전문직업성과의 조화를 위한 해석과제
- 연명의료 보류·중단에 대한 환자 가족의 결정
- 의생명과학과 법 제28권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민법분야 NEW
- 음악저작물 사용료 결정 방법에 관한 연구
- 계간 저작권 149호(38권 1호) 목차
- 인공지능(AI)이 합성한 실연 보호에 관한 연구 - 퍼블리시티권(미국)과 실연자 권리(한국) 보호 방식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