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선시대 南海 錦山 유람과 현실 인식

이용수 19

영문명
Excursion to Geumsan Mountain in the South Sea in the Joseon Dynasty Period and Perception of Reality
발행기관
동방한문학회
저자명
강정화(Kang Jeong-hwa)
간행물 정보
『동방한문학』제93호, 241~270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조선시대 지식인이 남해 금산을 유람하고 남긴 遊山 기록을 중심으로 금산 유람을 개괄하고 그들의 현실 인식을 살펴보았다. 금산 유람록은 현재 29편이 발굴되었는데, 1609년 8~9월에 있었던 趙㻩의 유람을 기점으로 조선 후기로 갈수록 유산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국내 여느 명산 유람과 비교하여 대략 1백 년 정도 늦게 시작된 셈이다. 남해 금산 유람은 조선조 지식인이 산과 바다를 한 번에 볼 수 있는 매우 특이한 경험이었다. 유람한 사람들은 여타 지역 문인과 인근 江右 지역 南冥學派 후학들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인근 江右文人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유람 계기도 뚜렷한 구분을 보였는데, 타지인은 남해에 유배 온 친인척을 찾아오거나 지리산권역에 공무로 왔다가 금산을 오르는 경우가 많았던 반면, 강우문인은 모두 금산의 명성을 듣고 찾아가는 것이 일관되게 나타났다. 특히 타지인은 그들의 세거지에선 금산에 대해 듣지 못했다가 남해에 온 이후 그 명성을 듣고 오르는 것으로 보아, 남해 금산은 강우문인의 산이었다고 할 수 있다. 유람로는 8할 이상이 남해 노량포구에 있는 李舜臣의 忠烈祠를 거쳐 금산으로 향했다. 이는 남해 이순신의 유적이 그들의 금산 유람에 중요한 이유였음을 알게 해준다. 여느 명산에 비해 금산에서의 일정은 1~2일뿐이고, 산 밑에서 정상까지 오르는 거리 또한 매우 짧았으며, 수백 년 동안 산행로가 바뀌지 않고 거의 일관되게 나타났다. 그중 지나는 곳마다 당대 지식인으로서의 현실 인식을 표출한 이들도 있었는데, 申命耈와 朴致馥이 특히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신명구는 금산으로 가는 도중 하동 白土峴에서 당시 貢物로 바치던 백토의 부당한 징수와 백성들의 고충 등을 토로하였고, 남해의 공물인 柚子와 관련해 남해 백성들이 당하는 불공정한 세금 부담을 비판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오랜 태평 시절로 인해 해이해진 바닷가의 군사시설과 군령 체계 등을 조목조목 신랄하게 비판하였다. 박치복은 남해와 금산에서 목격한 巫俗 행위에 대해 비판적 시선을 늦추지 않았다. 특히 바닷가 지역인지라 이러한 무속 행위가 성행했는데, 분명한 근원도 없이 그저 앞 세대부터 전해져 온 미신적 행위가 백성의 삶을 피폐하게 한다고 지적하였다. 옛 문헌에서 前例를 찾아 따지고 해명하고 설득하는 듯한 박치복의 글쓰기는 당대 지식인의 현실 인식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outlined excursions to Geumsan mountain focusing on the records of excursion to the mountain left by the intellectuals of the Joseon Dynasty period after their excursion to Geumsan mountain in the South Sea and examined their perception of reality. Thus far, 29 records of excursion to Geumsan mountain have been discovered, and excursions to Geumsan mountain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beginning from the excursion of Jo Gyeom (趙?) in August-September 1609 toward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Compared to excursions to other famous mountains in Korea, excursions to Geumsan mountain began about 100 years later. An excursion to Geumsan mountain in the South Sea was a very unique experience for the Joseon Dynasty intellectuals to see the mountain and the sea at once. Those who experienced the excursion can be divided into literary persons from other regions and younger scholars of the Nammyung School in the neighboring Gangu region. The momentums for the excursion also showed a clear distinction. While those from other regions often came to visit relatives who had been exiled to the South Sea or to the Jirisan area for official duties and climbed Geumsan mountain, Gangu scholars visited Geumsan mountain after hearing the reputation of the mountain in all cases. In particular, given that those from other regions did not hear about Geumsan mountain in their residences and climbed the mountain after hearing the reputation when they came to the South Sea, it can be said that Geumsan mountain in the South Sea was a mountain of Gangu scholars. At least 80% of the excursion routes went to Geumsan mountain via the Chungnyeolsa Temple of Yi Sun-sin in Noryang port in the South Sea. This indicates that the remains of Admiral Yi Sun-sin in the South Sea were an important reason for their excursions to Geumsan mountain. Unlike other famous mountains, the itinerary at Geumsan mountain was only 1-2 days, the distance from the bottom of the mountain to the summit was also very short, and the trail appeared almost consistently over hundreds of years with no change. Among them, there were those who expressed their perception of reality as intellectuals of the time wherever they passed a place, and Shin Myeong-gu (申命耈) and Park Chi-bok (朴致馥) were particularly prominent. On the way to Geumsan mountain, Shin Myeong-gu complained about the unfair collection of white clay, which was offered as a tribute at the time, and the people's grievances at Hadong Baektojae (白土峴) and criticized the unfair tax burden on people in the South Sea with regard to citron, a tribute of the South Sea region. In addition, he criticized the military facilities and the military command system along the southern coast, which had become lax due to the long peaceful period, one by one. Park Chi-bok did not slow down his critical gaze on the shamanic acts he witnessed in the South Sea and Geumsan mountain. The shamanic practices as such were particular prevalent because the region was a coastal area and he pointed out that the superstitious practices handed down from previous generations without a root impoverished the lives of the people. Park Chi-bok's writing, which seems to find precedents in old literature, nitpick, explain, and persuade people,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contemporary intellectual's perception of reality.

목차

1. 들어가는 말
2. 남해 금산 유람의 개괄
3. 유람록에 드러난 현실 인식
4.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정화(Kang Jeong-hwa). (2022).조선시대 南海 錦山 유람과 현실 인식. 동방한문학, (), 241-270

MLA

강정화(Kang Jeong-hwa). "조선시대 南海 錦山 유람과 현실 인식." 동방한문학, (2022): 241-2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