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도적 어휘 학습 과업의 효과
이용수 36
- 영문명
- Effects of vocabulary learning involvement on intentional vocabulary learning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주연 신유선 오준일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4권 4호, 95~1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whether specially designed vocabulary- learning tasks would induce different levels of involvement and to explore whether higher levels of task-induced involvement would facilitate intentional vocabulary learning among Korean university students. A total of 78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English at a local university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randomly assigned to three intentional vocabulary-learning conditions potentially inducing different levels of involvement: marking true-false statements, choosing the right words for blanks in statements, and writing the correct forms of words for blanks in statements, all using a glossary. On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asks,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intended to measure differences in the amount of involvement during task performance, as well as two post-tests of target vocabulary. 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d post-hoc comparisons clearly showed that the three tasks indeed induced different levels of involvement. However, analyses of the post-tests of target vocabulary revealed that the three tasks were effective for vocabulary learning but did not differ statistically significant from one another in terms of effects on vocabulary learning. The theoretical and pedagogical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research are suggested.
목차
I. 서론
II. 연구 배경 및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IV. 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도적 어휘 학습 과업의 효과
- CAF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말하기 특징
- 한국 대학생들의 글에 사용된 영어 전치사의 특성
- 스마트폰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영어 학습이 듣기능력 향상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학습탈동기와 학습중단의 연관성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에서 장르에 따른 언어 사용 및 문학 반응 양상 탐구
-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수업 유형별 효과 인식에 끼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영어 그림책 그림읽기를 통한 시각문식력의 발현과 영어학습
- Complexity of Error Patterns in EFL Writing: Comparing Unskilled Writers’ Production and Revis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사립대학의 대학성과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유형의 전이 양상 및 재정요인 분석
- 대안교육시설 학습자에 대한 재정지원 방안: 보통교부금의 적용가능성 검토와 대안 제시
- 국가경쟁력 세계 10위권 도약을 위한 중장기 고등교육 투자 목표와 확충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