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영어 그림책 그림읽기를 통한 시각문식력의 발현과 영어학습
이용수 53
- 영문명
- The emergence of visual literacy and learning English through elementary students’ picture-reading of English picture book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권창숙 조현희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4권 4호, 45~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qualitative study aimed to find out how children demonstrate visual literacy through reading pictures in English picture books and connect it with English learning. The research questions were first, how lower-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veal visual literacy through picture-reading in English picture books. Second, what changes they show in English ability and affective aspects of learning English through the picture-reading. The participants were 10 second-grade students who attended an English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at a metropolitan city library. Data were collected through video recordings of the class,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and their parents, students' activity sheets, reflective notes of the class, and teacher's teaching journals. Content analysis was done through coding and categorization of the data. Data analysis revealed that reading pictures guided students to demonstrate critical visual literacy as they made a rich interpretation of the story through analyzing various pictorial and visual elements. They also created story narratives on the text that they read. In terms of English learning, students acquired English vocabulary while actively making connections between the pictures and the vocabulary. Lastly, students gained positive attitudes, confidence, and interest in learning English.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for English educ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도적 어휘 학습 과업의 효과
- CAF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말하기 특징
- 한국 대학생들의 글에 사용된 영어 전치사의 특성
- 스마트폰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영어 학습이 듣기능력 향상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학습탈동기와 학습중단의 연관성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에서 장르에 따른 언어 사용 및 문학 반응 양상 탐구
-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수업 유형별 효과 인식에 끼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영어 그림책 그림읽기를 통한 시각문식력의 발현과 영어학습
- Complexity of Error Patterns in EFL Writing: Comparing Unskilled Writers’ Production and Revis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