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에서 장르에 따른 언어 사용 및 문학 반응 양상 탐구
이용수 73
- 영문명
- Exploring language use and literary responses in primary English lessons utilizing picture books with different genres
- 발행기관
- 팬코리아영어교육학회(구 영남영어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리 임보라
- 간행물 정보
- 『영어교육연구』제34권 4호, 69~9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rimary students’ language use and literary responses in English lessons utilizing two parody and two realistic picture books. Sixteen fifth grad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Diverse data such as students’ journals, worksheets, pre-, middle-, and post-survey, pre- and post-tests, transcription of class dialogues, and teacher’s journal was collected and analyzed qualitatively. Data analysis showed three major results. First, students comprehended characteristics of two different genres of picture books and showed a balanced approach between the two genres. The second and third results were related to the students’ responses of the two different genres. With parody picture books, students enjoyed finding the differences with the original stories, overcoming stereotypes and prejudices, and expanded their imagination by rewriting some scenes in the picture book using different viewpoints. With realistic picture books, students established their identity through indirect experiences, and reconstructed their social knowledge through discussion with their classmates and the teacher. In addition, students enhanced their information literacy through diverse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diverse genres of picture books need to be introduced to the students. Second, teachers need to prepare activiti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iterary genres,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and their ages.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도적 어휘 학습 과업의 효과
- CAF에 나타난 한국 대학생의 말하기 특징
- 한국 대학생들의 글에 사용된 영어 전치사의 특성
- 스마트폰 음성인식 앱을 활용한 영어 학습이 듣기능력 향상 및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중학교 영어학습자들의 학습탈동기와 학습중단의 연관성 연구
- 그림책을 활용한 초등영어 수업에서 장르에 따른 언어 사용 및 문학 반응 양상 탐구
- 예비교사의 교육실습이 수업 유형별 효과 인식에 끼치는 영향
- 초등학생의 영어 그림책 그림읽기를 통한 시각문식력의 발현과 영어학습
- Complexity of Error Patterns in EFL Writing: Comparing Unskilled Writers’ Production and Revision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