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사』 교과서 속 ‘인권’ 개념의 서술 양상 분석과 수업 방안
이용수 167
- 영문명
- Analysis of textbook descriptions of『 Korean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rights and Teaching plan - Focusing on the 5.18 Democratization Movement -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윤숙현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5권 제2호, 145~1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통합사회와 역사 교과서는 용어의 차이뿐만 아니라 그 개념과 내용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통합사회교과는 헌법과 국가의 범주를 중심으로 인권과 국민의 기본권을 구분하면서도 구체적 내용의 공통점을 설명하고 있는데 반해, 역사교과서는 인권 개념을 인간의 존엄성이 침해당하는 피해자의 권리라는 제한적 의미로만 사용하고 있어서 부당한 국가권력과 실정법에 저항하는 권리로서의 인권의 개념이 잘 드러나지 못하고 있다. 통합사회 교과서와 역사교과서를 융합하여 수업을 구성한다면 인권과 국민의 기본권 개념을 바탕으로 해서 학생들이 한국의 민주화운동 관련 사료를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판단할 수 있다. 학생들은 왜 시민들이 부당한 국가권력과 실정법에 저항하였는지를 명확히 이해할 수 있고 다양한 계층의 입장과 권리 주장들을 설명할 수 있다. 최근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로서 국가와 헌법을 상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는데, 인권의 개념으로 민주화 운동을 재구성한다면 인간의 존엄성의 보장과 함께 저항권, 그리고 민주주의와 연계하여서 사고할 수 있다. 또한 인권의 의미는 ‘국민’을 넘어 ‘인간’으로 그 범위를 확장하여 서로를 구분 짓고 타자화하기보다는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려는 공감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고 본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ight to resistance and democracy through the debate on human rights and citizenship (national rights), which has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in academia. In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 the part dealing with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from the April 19 Revolution to the June Democratic Uprising was analyzed as the subject of analysis, and it was used in integrated society textbooks such as ‘human rights’ and ‘basic rights’ of the people. From the point of view of human rights, we would like to examine how the May 18th democratization movement can be reconstructed in class. So, based on the concept of human rights learned in the integrated society textbook, we will understand the historical context and understand human rights and basic rights of the people.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ally thinking and judging historical facts through controversial concepts, students can participate in the production of historical knowledge. The concept of human rights, which is an issue, allows students to critically think and judge the history of Democracy in Korea.
목차
1. 머리말
2. 『한국사』 교과서 속 ‘인권’ 개념의 서술 양상 분석
3. 인권 개념으로 구성한 5·18 민주화 운동 수업
4. 맺은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식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중국의 통일정책에 대한 대만인의 인식
- 마음의 철학
- 건축물을 통한 장이론의 적용과 확장
- Research on the Features of Wuxia Animation in the Context of Chinese Wuxia Culture
- 『한국사』 교과서 속 ‘인권’ 개념의 서술 양상 분석과 수업 방안
- 피리 소재 설화의 유형과 특징
- 부산 외자 유치를 위한 부산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중국특색’ 협상 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내 얼후(二胡)에 관한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 분석
- 공연영상의 라이브니스의 수용자 인식과 관람몰입 연구
- 수능 중국어Ⅰ출제 경향 분석에 대한 소고
-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