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연영상의 라이브니스의 수용자 인식과 관람몰입 연구
이용수 302
- 영문명
- A Study on the Audience Perception of Liveness and Viewing Immersion in the performing arts video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박정배 유은혜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5권 제2호, 85~10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질적 분석기법을 적용해 학계에 나타난 공연영상의 라이브니스를 살펴보고, 수용자의 관람몰입에 미치는 관계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도출하였다. 먼저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수용자의 관람몰입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공연영상·라이브니스 변수 간의 관계를 질적 내용을 분석하여 연구 문제를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1.2.3은 영상화된 공연 관람을, 4.5는 라이브니스와 수용자 영향 관계를, 그리고 6.7.8.9.10은 수용자의 관람몰입과 향후 과제를 분석하여 공연영상의 라이브니스의 수용자 관람몰입이 관계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시사점에서 다음과 같이 공연산업의 발전을 위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기술의 발달로 이루어진 기술 진보와 디지털 혁명아래 공연산업의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 관객은 더 이상 공연장에서 관람하는 것이 아니라 어디에서든 스마트폰, 컴퓨터, TV, 영화관, VR 기기 등 관람 방법에서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소통 방식과 상호작용이전의 무대예술과는 매체를 통해 관람하는 관객과의 소통방식은 달라져야 한다는 점이다. 둘째, 팬데믹(Pandemic) 상황에서 발생한 공연 영상화는 기존 현장 중심 공연의 완전한 대체재(substitute)라기보다 새로운 형식의 공연산업 영역으로 다각화하였다는 점이 제시되어 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 나타난 몇 가지 한계점이 있어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그 이유는 질적 분석하고자 심층 인터뷰 대상자를 한정하여 일반화하는 한계와 공연영상·라이브니스·수용자의 관람몰입과 직접적인 선행연구들의 부족한 실정으로 좀 더 심도 있는 논의가 되지 못했다. 특히 대면, 비대면 관객 간의 다소 차이와 구체적인 통계치나 자료가 아니라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liveness of the digital theatre in the academic world by applying qualitative analysis techniques, focusing on the effect on the audience's viewing immersion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onclusions are following: First, viewing immersion was analyzed fro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respondents. In addition, the research questions were derived by analyzing the qualitative conten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gital theatre and the liveness variable.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certain relationship between liveness of the digital theatre and viewing immersion by analyzing watching experiences of the digital theatre in research question 1.2.3,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liveness and audience's perception in research question 4.5, and the future assignments associated with viewing immersion in research question 6.7.8.9.10.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e following is suggested from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First, the paradigm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is changing under the technological progress and the digital revolution made up of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udiences are no longer watching at the theater or concert hall only, but they are using various media such as smartphones, computers, TVs, movie theaters, and VR devices everywhere. Therefore, the communication method and interaction with the audiences in the digital era should be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forming arts. Next, the digital theatre that occurred in a pandemic situation is not a complete substitute for the existing on-site theatre, but a diversified into a new type of performing arts industry, which suggests setting up countermeasures. There are several limitations indicated in this study, therefore follow-up studies are needed. The reasons are not only that it has a limitation of generalization by setting respondents’ pool for in-depth interviewing in order to make a qualitative analysis but also that it was not able to be more intensive discussion due to the lack of previous studies directly related to the digital theatre·liveness·viewing immersion. In particular, there are limitations that there was not specific statistics or data set suggested which is able to indic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audiences of a face-to-face performance (i.e., offline theatre) and the audiences of a non-face-to-faceperformance (i.e., online theatre).
목차
1. 서론
2. 이론적 고찰
3. 질적연구와 분석
4. 질적 연구분석 결과
5. 결론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식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중국의 통일정책에 대한 대만인의 인식
- 마음의 철학
- 건축물을 통한 장이론의 적용과 확장
- Research on the Features of Wuxia Animation in the Context of Chinese Wuxia Culture
- 『한국사』 교과서 속 ‘인권’ 개념의 서술 양상 분석과 수업 방안
- 피리 소재 설화의 유형과 특징
- 부산 외자 유치를 위한 부산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중국특색’ 협상 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내 얼후(二胡)에 관한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 분석
- 공연영상의 라이브니스의 수용자 인식과 관람몰입 연구
- 수능 중국어Ⅰ출제 경향 분석에 대한 소고
-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