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건축물을 통한 장이론의 적용과 확장
이용수 31
- 영문명
- Application and Expansion of the Field Theory through Architecture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김덕삼 전병권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5권 제2호, 33~5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1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건축물에 장이론의 특징적 요소를 적용하고 확장하면서 그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특히 장이론이 갖는 관계에 대한 인식으로서 ‘상관성’과 다층적이고 입체적 성향으로서 ‘중첩’의 특징에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본문에서는 장이론과 건축에 대하여 간단히 소개하고, 그 관계를 생각해 보았다. 이어서 세 가지 형태의 건축물을 고찰하였다. 내부의 소통이 강조된 유니떼 다비따시옹(Unité d'habitation), 외부와의 소통이 강조된 보우카 소셜하우징(Bouca Social Housing), 내부의 소통과 외부와의 소통을 분리하여 강조한 스타 아파트먼트(Star Apartments) 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축물은 그 곳에 사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 영향을 받기도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주체와 장의 상관성’, ‘장의 중첩’, ‘변화에 대한 인식’, ‘본질을 파악하는 인문학적 탐구’, ‘일상에서의 적용과 확장’으로 장과 건축물의 관계를 성찰하며 장이론의 확장을 모색했다. 궁극적으로 이러한 작업을 통해 우리가 직면한 문제의 해결이나, 보다 나은 환경으로의 발전을 위해, 장이론이 갖고 있는 상관성, 중첩, 상대성을 토대로 본질적인 해결의 방안을 모색해야 함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ttempted to find its significance by applying and expanding the characteristic elements of field theory to architecture. In particular, attention was paid to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theory. It is ‘correlation’ as a perception of relationship and ‘overlapping’ as a multi-layered and three-dimensional tendency. To this end, the text briefly introduced field theory and architecture, and considered the relationship. Subsequently, three types of architecture were considered. It was divided into Unité d'habitation emphasizing internal communication, Bouca Social Housing emphasizing external communication, and Star Apartments emphasizing internal communication and external communication. This architecture is through the study also affects people living there, but other hand, affected also required to verify.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eld and the architecture was reflected in ‘correlation between subject and field’, ‘overlapping of field’, ‘recognition of change’, ‘humanities exploration to grasp the essence’, and ‘application and expansion in daily life’ and sought to expand the field theory. Ultimately, through this work,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at essential solutions should be sought based on the correlation, overlap, and relativity of the field theor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we face or develop into a better environment.
목차
1. 서론: 장이론 연구의 필요
2. 장이론과 건축물의 접점
3. 장이론과 세 가지 형태의 건축물
4. 결론: 장이론의 성찰과 확장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식융합연구 제5권 제2호 목차
- 중국의 통일정책에 대한 대만인의 인식
- 마음의 철학
- 건축물을 통한 장이론의 적용과 확장
- Research on the Features of Wuxia Animation in the Context of Chinese Wuxia Culture
- 『한국사』 교과서 속 ‘인권’ 개념의 서술 양상 분석과 수업 방안
- 피리 소재 설화의 유형과 특징
- 부산 외자 유치를 위한 부산항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방안 연구
- ‘중국특색’ 협상 전략에 관한 연구
- 한국내 얼후(二胡)에 관한 연구대상 및 연구주제 분석
- 공연영상의 라이브니스의 수용자 인식과 관람몰입 연구
- 수능 중국어Ⅰ출제 경향 분석에 대한 소고
-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죽음불안 및 사회적 지지 간의 상관관계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