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hina’s Divorce Rate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발행기관
- 한국자료분석학회
- 저자명
- 후샤징(Xiajing Hu) 김유정(You Jeong Kim) 김준홍(Jun Hong Kim) 최용석(Yong-Seok Choi)
- 간행물 정보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Vol.24 No.6, 2169~218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자연과학 > 통계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2.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세계 최대 인구 보유국인 중국이 최근 이혼 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987년 0.5 (‰, 1000명당 이혼 건수)였던 중국의 조이혼율(이하 이혼율로 통칭)은 2019년 3.4로 17년 연속상승하고 있는 추세를 보인다. 중국의 이혼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전체 지역을 기준으로 이혼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난 후 지역별로 이혼율 분포를 파악하여 이혼율이 높은 지역, 평균인 지역, 낮은 지역 간 이혼율 상승 원인과 지리적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Global Data Lab 그리고 CEI Data의 오픈 자료로부터 중국의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이혼율과 상관이 높은 GDP, 소비수준, 여성 수입 및 교육수준, 출산율 등의 총 12개 변수를 선택하였고, 기술통계분석, 다변량 분산분석(MANOVA)과 프로파일 분석(profile analysis, PA)을 통해 이혼율이 높은 지역(헤이룽장성:黑龍江), 평균 지역(산시성: 陝西), 낮은 지역(광둥성:廣東) 총 3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이혼율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끝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에서 이혼율이 높은 헤이룽장성과 평균인 산시성, 낮은 광둥성 간에 경제사회 개발화 특성 및 현대가족 특성이이혼율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언급된영향 외에도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영문 초록
In recent years, the divorce rate for China has been rising year by year. Based on the crude divorce rate from 2001 to 2019, this paper selects four groups of Heilongjiang, Shanxi and Guangdong, where the total divorce rate and the total divorce rate of China are high, medium and low respectively, and explores the reasons for the rising divorce rate of China from three aspects of economy, education and population composition. Compare the provinces with high divorce rate and low divorce rate at the same time, and analyze the reasons and geographical differences of rising divorce rate. This paper is main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first part is the comparison of differences between four groups based on multivariat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 second part 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first part is mainly descriptive statistics and variance analysis of all groups in China, Shaanxi, Guangdong and Heilongjiang, to confirm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Then, profile analysis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whole in China and Shaanxi province with the median divorce rate, as well as heilongjiang Province with the high divorce rate and Guangdong Province with the low divorce rate. In the second par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first of all, the factors affecting the divorce rate were analyzed. Secondly, through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the effect of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modernization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 on divorce rates between Heilongjiang Province, the average Shanxi Province, and low Guangdong Province is verified and concluded. Through a variety of analyses, this paper draws a conclusion that the divorce rate for China is greatly influenced by social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modernization characteristics and fertility.
However,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factors of the three provinces of China.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GLMM을 이용한 지역간 건강도 비교 연구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JKDAS) Vol.24 No.6 목차
- 간호사의 일과 삶의 균형과 간호업무성과가 행복지수에 미치는 영향
- 주가변동성에 대한 가격제한폭의 확대 효과 : 포트폴리오 수익률과 EGARCH 모형을 이용하여
-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군의 게임에 대한 양가감정이 게임갈망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19 전후의 자산포트폴리오 변동에 관한 고찰
- 회복마취 간호사의 그릿, 간호실무숙련도가 간호역량에 미치는 영향
- Fundamentals and machine learning in forecast of won-dollar exchange rate
- 매일 흡연 청소년의 특성
- 유방암 진단 여성의 삶의 질 영향요인
-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한 중국 이혼율 영향 요인 분석 연구
- 심리부검의 증거 효용성에 관한 논의 : 토픽모델링을 통한 심리부검의 판례분석
- 모바일, SNS, MCN 미디어 시대에 데이터 어낼리틱스 기반 미디어 시너지 제고 방안: ‘미디어 소비단위’별 연결망 분석을 통한 접근
- Estimating the Parameters of an Exponentiated Logistic Distribution under Progressive Hybrid Censoring Scheme
- 중소·벤처기업 CEO의 온-오프라인 사회적 네트워크가 기업의 동적역량과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응비교를 통한 가우시안 프로세스 회귀모형의 공분산 모수 선택법
- 국립공원의 특성이 지불의사액에 미치는 영향 분석 :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 연결 RBC제도의 도입과 가용자본의 가치관련성 변화
- Who Adopts Industry 4.0 Technology?
- XAI Grad-CAM 기반 궤양병 감귤 이미지 분류 CNN 모델의 점검
- 미디어 사용 행태 토픽 분석을 통한 추천모델링
- 표본추출틀에 따른 선거여론조사의 정확성 평가에 대한 연구
- 보리, 밀, 감자, 고구마, 콩, 옥수수, 이탈리안라이글라스 작물재배 농가 조사를 위한 표본설계
- 거래량과 가격정보에 따른 모멘텀과 주식수익률의 관계에 관한 연구
- ICT 산업 해외투자의 수출입에 대한 영향 분석
- 웰다잉(well-dying) 교육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죽음과 웰다잉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효과
- 글꼴의 네모틀 모양 및 삐침이 한글 낱자와 단어에 대한 시각 탐색에 미치는 영향
- 코로나 이전 및 이후 ‘어린이 유튜브’에 관한 기사 내용 트렌드 : 단어 빈도와 토픽 내용 탐색
- 공동주택의 주거환경 요인과 지각 가치가 주거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 A Comparative Study of Nursing Necessity Tools used in Korea and Japan
- Effects of External Corporate Governance Mechanism on Financial Distress Risk: Evidence from Chinese Listed Fir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