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밀엄경』의 여래장설

이용수 11

영문명
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ghanavyūhasūtra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준우(Kim, Jun-Woo)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64輯, 335~36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밀엄경』에서는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결합시키고 있는 문구가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 두 개념이 결합하는 양상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밀엄경』의 여래장설을 고찰하였다. 먼저 『밀엄경』에서 여래장과 알라야식을 결합시킬 때 등장하는 비유인 금과 반지의 비유를 티벳역과 『밀엄경』내의 다른 관련 개소들에 근거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금과 반지의 비유에서 금은 여래장과 알라야식 양자를 모두 가리키며 반지는 세간을 가리킨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이어서 『밀엄경』에서 여래장과 알라야식의 결합이 등장하는 문맥과 『밀엄경』이 여래장으로부터의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개념인 ‘여래장의 변사’를 분석하는 방식으로 『밀엄경』에서의 여래장과 알라야식의 결합 의도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서 『밀엄경』에서는 기존 여래장사상이 갖는 현상성립론의 미비점을 유식사상의 식전변 개념을 통하여 보완하려는 목적에서 여래장을 알라야식과 결합시켰다고 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여래장의 변사로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는 『밀엄경』의 현상성립론은 사상적 측면에서, 그리고 사용하는 비유의 측면에서 상캬의 전변설과 유사한 모습을 보인다는 것을 지적하였다. 『밀엄경』에서 변사의 주체로 삼아지는 여래장은 상캬가 전변의 주체로 삼는 원질과 마찬가지로 상주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밀엄경』의 현상성립론은 사상적 측면에서 상캬의 전별설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밀엄경』에서 여래장으로부터 현상의 성립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하는 금과 반지의 비유와 우유의 비유는 상캬의 전변설에서도 동일한 취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발견된다. 그러므로 『밀엄경』의 현상성립론을 사용하는 비유의 측면에서도 상캬의 전별설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I considered the tathāgatagarbha Theory of the ghanavyūhasūtra which combines tathāgatagarbha with ālayavijñāna. First, I analyzed the metaphor of gold and ring that appears when combining tathāgatagarbha with ālayavijñāna based on the tibetan translation and other related sites within ghanavyūhasūtra. As a result, I deduced that the gold refers to both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and the ring refers to mundane phenomenon. Next, I considered the purpose of combining of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by analyzing the context in which these two concepts emerge and the idea of ‘change of tathāgatagarbha’. And I deduced that in the ghanavyūhasūtra tathāgatagarbha and ālayavijñāna combined to compensate for the deficiencies of an explanation of the establishment of a phenomenon of existing tathāgatagarbha theory. Finally, I pointed out that the the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henomenon of ghanavyūhasūtra, which explains the establishment of the phenomenon as a ‘change of tathāgatagarbha’, is similar to Sāmkhya’s theor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phenomenon in both ideological aspect and metaphor used.

목차

Ⅰ. 서론
Ⅱ. 『밀엄경』의 결합문구
Ⅲ. 『밀엄경』의 여래장과 알라야식 결합목적
Ⅳ. 『밀엄경』과 상캬의 전변설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준우(Kim, Jun-Woo). (2022).『밀엄경』의 여래장설. 보조사상, (), 335-365

MLA

김준우(Kim, Jun-Woo). "『밀엄경』의 여래장설." 보조사상, (2022): 335-36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