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나말여초 동리산문의 지형과 사상

이용수 131

영문명
Topography and Ideas of Dongrisan School in Late Silla and Early Goryeo Era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김방룡(Kim Bang-ryong)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64輯, 173~202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국으로부터 이 땅에 선(禪)이 전래되어 한국선이 형성된 시기는 나말여초이며, 고려 중기에 이르면 그 대표적인 산문을 총칭하여 ‘구산선문(九山禪門)’이라 부르게 된다. 중국으로부터 전래된 선은 초기에 북종선이 전래되었고, 이어 남종 마조계의 선이 전래되었으며, 10세기에 이르면 남종 석두계의 선이 전래되었다. 또한 동일한 산문이 초기 북종선을 전래하였다가 다시 남종 마조계의 선을 전래하기도 하고, 남종 마조계의 선을 전래하였다가 다시 남종 석두계의 선을 전래하기도 하였다. 동리산문은 ‘나말여초 전라남도 곡성군 죽곡면 원달리에 위치한 동리산 태안사를 중심으로 하여 적인 혜철(寂忍惠哲)에 의해 개산된 후 그의 선풍을 계승한 선종의 문파’를 지칭하는 말이다. 개산조 혜철은 가지산문의 도의(道義) 및 실상산문의 홍척(洪陟)과 더불어 마조(馬祖)의 제자인 서당(西堂)의 법을 이어 선문을 개척한 초창기 인물이다. 본고에서 다루고 있는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동리산문의 범위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고, 다른 하나는 ‘동리산문의 사상적 특징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하는 문제이다. 이 두 가지 문제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제는 ‘옥룡사계로 분류되어진 도선(道詵)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가?’하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이 문제에 관한 김두진, 이덕진 등의 선행연구의 내용을 검토하여 이들 사이에 나타나는 핵심적인 쟁점을 도출하고, 이들의 의견이 지니는 타당성과 부당성 및 이들의 관점이 지닌 함의가 무엇인지를 정리하였다. 이러한 검토를 거쳐서 혜철의 법을 이은 도승은 도선과 다른 인물로 보아야 하며, 옥룡사계로 분류되어진 도선과 경보의 경우 동리산문의 소속이 아닌 별개의 선승으로 보는 것이 타당함을 밝혔다.

영문 초록

The time when Korean Seon was introduced to this land from China and Korean Seon was formed was around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era. In the mid-Goryeo period, the representative Mountain School is collectively called Gusan Seon Schools. Seon from China was initially introduced by the Northern School Seon. Subsequently, the Southern School Seon of department of Majo were introduced, and by the 10th century, the Southern School Seon of department of Seokdu were introduced. In addition, the same mountain School introduced the Northern School Seon in the early days, followed by the Southern School Seon of department of Majo, or introduced the Southern School Seon of department of Majo, followed by the Southern School Seon of department of Seokdu again. Dongnisan School refers to “the Seon Shool that inherited Jeokin-Hyecheol ’s Seon type after being opened by him, centering on Taeansa Temple in Dongnisan, located in Wondal-ri, Jukgok-myeon, Gokseong-gun, Jeollanam-do in the late Silla and early Goryeo era”. A School founder, Hye-cheol was the early person who pioneered Seon School by following the lineage of Seodang, a disciple of Majo, along with the Doui of Gajisan School and Hongchuk of Silsangsan School. There are two main problems addressed in this paper. One is the question of how to define the scope of Dongrisan School, and the other is the question of how to view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Dongrisan School. The biggest challenge in these two problems is how to deal with Doseon classified as Okryongsa lineage. In this paper, after reviewing the content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Kim Doo-jin and Lee Deok-jin on this issue, key issues that appear between them were derived, and the validity and unfairness of their opinions and their implications were summarized. Through this review, it was revealed that Doseung, who succeeded Hye-cheol's lineage, should be regarded as a different person from Doseon, and in the case of Doseon and Gyeongbo, which were classified as Okryongsa lineage, it was reasonable to regard them as separate monks rather than belonging to Dongrisan School.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선행연구의 쟁점들
Ⅲ. 동리산문의 지형
Ⅳ. 동리산문의 사상
Ⅴ. 나가는 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방룡(Kim Bang-ryong). (2022).나말여초 동리산문의 지형과 사상. 보조사상, (), 173-202

MLA

김방룡(Kim Bang-ryong). "나말여초 동리산문의 지형과 사상." 보조사상, (2022): 173-20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