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부휴 선수(浮休 善修)를 중심으로 본 조선중기 한국 불교의 특징

이용수 47

영문명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in the Mid-Joseon Dynasty, focusing on Ven. Buhyu Seonsu (浮休 善修)
발행기관
보조사상연구원
저자명
박재현(Park, Jae-hyeon)
간행물 정보
『보조사상』第64輯, 11~3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불교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부휴(浮休) 선수(善修, 1543~1615)는 임진왜란(1592~1598) 이후 16·17세기 조선불교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위치에 있는 인물이다. 성리학적 정치 이념을 강고하게 세우고자 했던 조선전기의 사회적 분위기에 비해 조선 중기 이후는 왜란과 호란을 거치면서 성리학적 이념에만 의지한 국가 경영에 한계를 드러냈고, 피폐해진 백성들의 생활과 정신적 공황 상태를 선무(宣撫)해줄 보완 세력이 필요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조선중기의 불교계는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을 나타내며 정치 사회적 역할을 제고해 나갔다는 사실이 선수의 행적에서 나타난다. 먼저 나타나는 특징은 선수를 포함한 당시의 불교계가 유교적 가치를 충분히 내면화했다는 점이다. 조선전기의 유불일치 논의가 수세적이고 방어적이었던데 비해서, 이 시기에 보이는 유불일치 주장은 불교계가 유교적 가치를 충분히 내면화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두 번째 특징은 불교계 지도층 인사들이 유학자 관료들과 교류하는 한편 임란 극복 과정에서 출가 수행자들의 정치사회적 역할과 참여 비중이 확장되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세 번째는 선(禪)과 교(敎) 겸수의 불교 수행에 미타정토 신앙이 융합되는 양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이는 조선후기 불교의 삼문수행 체계가 정립되는 단초가 열린 것이다.

영문 초록

Ven. Buhyu Seonsu (浮休善修, 1543~1615) is an important figure in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Joseon 朝鮮 Buddhism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after the Imjin (壬辰) War (1592~1598). In contrast to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which tried to firmly establish a Neo-Confucian political ideology, the mid-Joseon and later periods of the Imjin War and the Byeongja (丙子) War revealed the limits of state management that relied on Neo-Confucian ideology. And they needed a complementary force to comfort the people's lives and mental panic. In such a situation, the fact that Buddhism showed som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improved its political and social role is revealed through the life and deeds of Buhyu Seonsu. The first characteristic that appears is that the Buddhist community at the time, including Athlete, fully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It shows that Buddhism has sufficiently internalized Confucian values after the mid-Joseon period, whereas the argument for disagreement was passive and defensiv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second is that Buddhist leaders deeply interacted with Confucian bureaucrats, and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monks expanded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the war. And the third is that Seon (禪), Gyo (敎) and Pure Land ideas were fused together, which was established as the three-moon practice system of Buddhism in the lat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유교적 가치의 내면화
Ⅳ. 출가 사문의 사회 참여 확장
Ⅴ. 삼문수행 전통의 정립과 선수의 태도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재현(Park, Jae-hyeon). (2022).부휴 선수(浮休 善修)를 중심으로 본 조선중기 한국 불교의 특징. 보조사상, (), 11-38

MLA

박재현(Park, Jae-hyeon). "부휴 선수(浮休 善修)를 중심으로 본 조선중기 한국 불교의 특징." 보조사상, (2022): 1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